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42] LX세미콘_22년 1Q 영업(잠정)실적 업데이트

by 포푸리 (POPOOLY) 2022. 5. 6.
반응형

RISK

1. 반도체 칩 공급망 정상화와 리오프닝에 따른 수요 정상화로 인한 피크아웃 우려로 디스플레이 비메모리 업체들의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중

2. OLED 향 제품 출하 증가는 22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객사의 CAPA 가동이 본격화되는 23~24년 실적 개선 전망

3. 파운드리 원가 상승에 따라 마진 훼손 우려 있었으나 판가 전가와 하이엔드 제품 매출 비중이 상승하면서 이익률 개선

4. 22년 1Q 매출/이익 성장에도 불구하여 OCF는 크게 감소했는데, 매출채권 증가 때문으로 추정

 

LX세미콘, 역대급 실적에도 '현금흐름' 감소 배경은

[BY 블로터] LX세미콘은 25일 올해 1분기 매출 5850억원, 영업이익 1279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

m.post.naver.com

GOOD

1. DDI 시장은 14~21년 CAGR 10.4% 성장 중이며, LX세미콘은 21년 말 기준 DDI 시장에서 10.4%를 점유하는 3위 기업

2. 대만 Novatek은 LCD 비중이 높지만, LX세미콘은 OLED 사업 비중이 45~50%에 달해 중장기적으로 성장 전망

3. LGD, BOE, CSOT의 중소형 OLED 패널은 삼성전자/애플 모두 동사의 모바일 DDI가 적용되며, 스마트폰 내 OLED  침투율 상승으로 모바일 DDI 매출은 지속 성장 전망

4. 22년 1Q 모바일용 DDI는 12인치 파운드리 공급 부족으로 8~9% 가격 인상되어 수익성 개선되었으며, BOE향 물량 증가로 비수기임에도 선방

 

"중국이 결국 해냈다"…BOE, 아이폰14에 패널 공급

BOE, 일반모델용 패널 5000만장 공급

www.mk.co.kr

 

BOE, 애플 아이폰 OLED 설계 임의 변경했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중국 BOE의 애플 아이폰 OLED 생산물량이 급감하면서 업계에서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다. BOE가 아이폰 OLED 설계를 임의 변경한 것이 애플에 적발돼 물량이 급감했다는 추정이 가장 많다. 칩 부족

www.thelec.kr

5.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세트 업체들이 중국에서 TV, IT 패널을 구입할 때 LX세미콘의 T-Con+DDI 선호하여 BOE, CSOT 내 TV, IT용 T-Con, DDI 점유율 꾸준히 상승 중

6. TV용 제품은 4K 제품 비중이 증가하면서 LCD향 패키지 ASP가 상승 중이며, 노트북 제품들도 하이엔드 패널 채용이 늘어나면서 ASP 상승

7. 삼성전자가 LGD의 WOLED TV 패널 채택이 유력해 22년 하반기부터 LGD OLED TV 패널용 DDI 물량 증가 전망

8. 1달러 수준의 IT향 T-con을 패키지로 공급하면서 ASP 상승 예상

9. 마이크로소프트와 TOF 계약 체결하고, PMIC 연구센터 신설, 충북 청주시에 SiC R&D 설비 가동 준비 및 전문 인력 채용 등 신사업 진출위해 노력 중

 

LX세미콘,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탈바꿈하나? - 테크월드뉴스

[테크월드뉴스=노태민 기자] LX세미콘이 충북 청주시에 탄화규소(SiC, 실리콘카바이드) R&D 설비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LX세미콘은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탈바꿈하기 SiC R&D 설

www.epnc.co.kr

 

차세대 전력반도체 연구회 생긴다

전력 반도체 개발을 위한 연구회가 발족한다.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산화갈륨(Ga203) 등 급성장하는 글로벌 전력 반도체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학계·연구계 전문가가 의기투합한다.

www.etnews.com

PRICE

1. 주가를 잘 설명하는 멀티플 없어 PSR, POR, PER, PBR로 목표주가 설정

2. 아이폰 OLED DDI 독점 공급 영향으로 1분기가 비성수기이고, 4분기가 성수기

3. https://blog.naver.com/bluedot1932

4. 2022년 목표주가 (H) 219,000원 (M) 156,000원 (L) 93,000원

5. 2023년 목표주가 (H) 249,000원 (M) 177,000원 (L) 105,000원

 

LX세미콘.xlsx
0.18MB


22년 1Q 영업(잠정)실적

- 22년 1Q 매출 585,085백만원, 영업이익 127,919백만원, 순이익 97,261백만원 공시

  • 21년 1Q 매출 405,624백만원 대비 44.2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92,412백만원 대비 115.92%, 순이익은 508,198백만원 대비 91.38% 증가

  • 피크 아웃 우려에도 불구하고 DDI 판가 전가 및 중대형 DDI ASP 상승으로 매출/이익 크게 증가

매출/이익 추정치 변경

- 22년 매출액 2,563.4억원, OPM 19.47%, NPM 15.61% 추정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1분기 매출액 405,623,574,114 212,578,470,789 177,366,380,848
연간 매출액 1,898,845,716,028 1,161,896,286,020 867,122,049,614
1분기 매출액/연간 매출액 21.36% 18.30% 20.45%

  • 22년 1분기 매출액/연간 매출액은 22.82%로 추정

  • OPM, NPM은 비수기인 1분기에도 각각 21.86%, 16.62%이므로 22년에는 더 좋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피크 아웃 우려 반영하여 보수적으로 추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