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1. 18년 이후 연구개발비용 지속 감소 중이며, 순현금성 자산이 18~19년 크게 감소한 뒤 20년부터 조금씩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임
2. 21년 3Q 코로나 재확산으로 러시아 매출 크게 감소했으며,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러시아 규제로 비중 10%인 매출이 감소 가능하나 결제수단이 달러/유로라 제한적일 듯
3. 중국 정부가 임플란트 대량 구매 발표하면서 현재 6,000~20,000위안 (113만~388만원) 보다 70~80% 가격 하락 예정이나 관영시장 대상으로 영향 제한적
4. 22년 토지 및 건물 취득으로 445억원의 CAPEX 발생 예정이나, 세종시로부터 10년간 세제혜택을 받아 현금 유출 효과 상쇄 예상
GOOD
1. 임플란트 국내 2위, 글로벌 6위의 시장 선도적인 지위의 업체로 현재 약 3.5조원이고 잠재시장이 10배 이상으로 추정되는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 수혜 가능
2. 전략 시장인 중국에서 시장점유율 2위이고 러시아에서도 빠르게 성장 중이며, OPM도 20%대로 뛰어나 매출 비중 늘어나면서 수익성 개선 가능
3. 24년까지 중국 임플란트 시장에서 평균성장률인 CAGR 20%를 상회하는 것이 목표이며, 중국에서 외국기업 최초로 임플란트 생산 허가와 CT 판매허가 취득
4. 21년 4Q 디지털 장비 매출이 129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중국 신규 개원 치과 대상 장비+임플란트 패키지 판매 호조로 보임
5. 21년 8월 출시한 Bright CT는 기존 CT 장비 원가의 30%를 차지하던 디텍터를 자체 개발함으로써 마진 개선될 것이며, 중국/동남아 시장에서 23년 인허가 취득 전망
6. 18년 185억원 규모의 3D 프린팅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크라운 및 실형상 치근 모듈 개발 과제에 참여하여 22년 12월까지 진행 예정
7. 산업부에 따르면 치과용 3D 프린팅 장비는 25~29년까지 국내 1,237억원, 글로벌 5억 4,700만 달러 시장 형성 전망
8. 22년 3월부터 치아가 전혀 없는 만 65세 이상 무치악 환자도 2개까지 30%만 본인부담하는 건강보험 혜택 적용 가능해지면서 국내 시장 성장 전망
9. 22년 매출 가이던스가 400억원이나 20년 가이던스 대비 매출이 28% 적었어서 신뢰성 떨어짐
PRICE
1. POR이 주가 잘 설명
2. 1->4분기로 갈수록 실적 호조
3. 2022년 목표주가 (H) 114,000원 (M) 83,000원 (L) 52,000원
4. 2023년 목표주가 (H) 143,000원 (M) 104,000원 (L) 65,000원
22년 3월 수출입데이터
1. 경기도 수원시 임플란트 수출 금액은 11,540천 달러 발표 (HS code: 90.21.29)
- 22년 3월 경기도 수원시 임플란트 수출 금액은 21년 3월 12,888천 달러 대비 -10.46% 감소
- 22년 1분기 경기도 수원시 임플란트 수출 금액은 32,168천 달러로 21년 1분기 31,121천 달러 대비 YoY 3.36% 증가
- 덴티움의 22년 1분기 매출액은 수출실적/매출액을 170%로 추정하여 60,154백만원 예상 (YoY 11.81% 증가)
수출실적/매출액 (단위: %) |
160 | 180 | 200 |
56,616 | 663,693 | 70,77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