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60] 이녹스첨단소재_22년 1분기 보고서

by 포푸리 (POPOOLY) 2022. 6. 26.
반응형

RISK

1. 19년부터 OCF의 영업이익 대비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의 증가 영향으로 보이며, 22년 1Q는 법인세 납부로 크게 감소

2. 전사 원재료 구매액에서 PI필름(from PI첨단소재)과 동박의 비중이 50% 이상으로 원재료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영향 크나 OLED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영향 감소 중

GOOD

1. FPCB 소재/OLED 소재에서 국내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아이폰/OLED TV/폴더블 폰 등 OLED 전방산업 성장에 따라 OLED용 소재의 매출 비중 빠르게 상승

2. 중국향 매출의 성장이 베트남향 매출 감소를 메꿔주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신규 WOLED 공장의 가동률이 90%로 올라오면서 중국향 매출은 지속 성장 전망

3. 22년 LGD의 WOLED TV 시장 확대로 OLED TV 봉지재 수요 증가하면서 INNOLED TV 부문 매출액 비중이 19년 21.4% -> 20년 24.1% -> 21년 36.4% -> 22년 37.8%로 확대 전망

4. LGD의 대형 OLED 패널 출하는 19년 330만대 -> 20년 450만대 -> 21년 740만대 -> 22년 1,000만대로 증가할 전망으로 동사가 수혜받을 것으로 예상

5. 디스플레이 섹터의 수요 둔화에 따른 공급 과잉에도 불구하고 OLED TV용 필름 시장 내 점유율 상승과 폴더블, 노트북, 태블릿 향 특수필름 매출 확대로 매출/이익 증가 전망

 

가전시장 인플레 한파…패널 재고 쌓인다

휴대폰·노트북·태블릿 수요위축 코로나 특수 종료에 高물가 직면 LCD 패널값 보름새 9% 급락 OLED패널 성장률도 하향조정 시장조사업체 "바닥 안보여"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는 가

n.news.naver.com

 

[오늘Who] 삼성전자 폴더블폰시장 공격적 확대, 노태문 부품조달 관건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 사장이 올해 폴더블폰 생산 목표량을 2021년보다 2배 이상 늘리며 공격적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노 사장은

www.businesspost.co.kr

6.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FPCB용 소재 일부 사업부문 축소하고, OLED용 소재 사업 확대할 예정으로 완료시 마진 추가 개선 가능

PRICE

1. POR, PCFR이 주가 잘 설명하는 듯 but 보수적으로 PBR로 계산하면 아직 25~30% 추가 주가 하락 가능

2. IT가 하반기로 갈수록 성수기이므로 동사도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되며, 3분기가 가장 성수기

3. 22.06.16~22.12.16일 1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예정으로, 6.25일 주가 기준 1.4% 수준

4. https://blog.naver.com/s1038005.

5. https://blog.naver.com/gettmd

6. 2022년 목표주가 (H) 67,500원 (M) 50,200원 (L) 32,900원

7. 2023년 목표주가 (H) 74,200원 (M) 55,200원 (L) 36,200원

 

이녹스첨단소재.xlsx
0.21MB


22년 1분기 보고서

 22년 1Q 매출 1,310.28억원, 영업이익 309.69억원, 순이익 259.91억원 공시

 -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36.42%, +127.42%, +134.02% 증가

 - OPM, NPM은 각각 23.64%, 19.84%로 21년 1Q 14.18%, 11.56%보다 크게 증가

 매출의 약 55%, 15%, 20%를 차지하는 OLED용 소재(수출), FPCB용 소재(내수), FPCB용 소재(수출)이 각각 YoY +41.25%, +11.07%, +72.85% 증가

 매출의 약 65%, 30%를 차지하는 국내, 중국애 각각 YoY +25.61%, +67.14% 증가

22년 매출/이익 추정

 22년 매출액 5,603.86억원, 영업이익 1,257.44억원, 순이익 1,042.42억원 추정

 - 22년 1분기 매출액 비중은 디스플레이 업황을 고려하여 평년보다 보수적인 23.38%로 추정

 - 22년 OPM, NPM은 각각 22.44%, 18.60%로 1분기 23.64%, 19.84%보다 감소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1분기 매출액 96,045,634,589 71,185,633,941 85,651,103,972
연간 매출액 487,292,463,999 336,257,633,456 349,330,168,052
1분기 매출액 비중 19.71% 21.17% 24.52%

재고자산과 매출액

• 1분기 래깅한 재고자산과 매출액의 상관계수는 0.85이며, 2분기 래깅한 생산실적과 매출액의 상관계수는 0.86임

 - 매출액/재고자산을 2.3으로 가정하여 이녹스첨단소재의 22년 매출액은 1,556.22억원으로 추정

구분 매출액/재고자산
2.0 2.3 2.6
22년 2Q 135,323,164,566 155,621,639,251 175,920,113,936

 - 매출액/생산실적을 10으로 가정하여 이녹스첨단소재의 22년 매출액은 1,309.60억원으로 추정

구분 매출액/생산실적
9 10 11
22년 2Q 117,864,000,000 130,960,000,000 144,056,000,000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분석 파일의 비밀번호를 원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