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144] PI첨단소재_22년 사업보고서

by 포푸리 (POPOOLY) 2023. 3. 17.
반응형

RISK

1. 22년 3Q부터 제품 재고 증가로 재고자산 급증 및 OCF 악화됐으며, 22년 1Q부터 8~9호기 증설에 따른 건물/기계장치/건설중인자산 증가로 FCF와 순현금성자산 급감

2. 22년 3Q 고객사 재고조정으로 인한 오더컷, 22년 4Q 폭스콘 정저우 공장 코로나 사태로 인한 아이폰 공급 차질로 PI필름 수요 감소

3. 스마트폰 고객사들의 23년 초 재고는 3개월치(900~1,000톤)로 적정재고인 2개월치(600~700톤)보다 높아 재고 조정 지속 예정

 

1월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44.6%↑…'일회성' 확률 높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의 1월 스마트폰 판매량이 큰 폭으로 반등하는데 성공했다. 스마트폰 업황이 이제 회복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업계에서는 춘절 프로모션

www.thelec.kr

GOOD

1. 2014년부터 PI필름 판매량 기준 글로벌 1위이며, PI첨단소재의 매출액과 점유율 기준 PI필름 시장은 16년 6,485억원 -> 22년 8,803억원으로 CAGR 5.21% 성장

2. DMF 재활용 설비가 22년 3Q부터 정상 가동되면서 DMF 재활용 비중이 22년 상반기 37% -> 22년 3Q 70% -> 22년 4Q 80%로 증가

3. 22년 7월에 8호기 가동을 시작해 CAPA가 5,250톤으로 증가했으며, 24년 1분기에 9호기 증설 완료되면 6,000톤으로 확대되어 KANEKA 4,000톤, Taimide 2,100톤보다 경쟁력 보유

 

[르포] 세계 1위 폴리이미드 필름의 산실 PI첨단소재 구미 공장

29일 경북 구미 PI첨단소재 폴리이미드(PI) 필름 제4호기 라인. 정상 가동 앞두고 시험 운전이 한창이었다. 보안을 위해 입장 절차는 까다로웠고 방진복 착용은 필수였다. 커다란 필름 롤페이퍼가

www.etnews.com

4. PI 바니쉬는 EV향 Capa 증설과 OLED향으로의 이원화를 통해 CAPA를 21년 600톤 -> 26년 3,600톤(21년 EV/OLED 600/0톤 -> 26년 3,000/600톤)으로 확대 예정

5. 26년까지 필름 5,500억원, 바니쉬/파우더 1,500억원 이상을 통해 21년의 약 2.3배인 7,000억원 매출 달성 목표이며, 10호기 증설을 통해 연간 필름 생산을 7,500톤으로 확대 예정

PRICE

1. PSR, PGPR, PBR 기준 목표주가 설정

2. 아이폰 영향으로 3분기가 가장 성수기

 

'1.3조 빅딜'…PI첨단소재 매각 무산 이유 뜯어보니 [시그널INSIDE]

증권 > 국내증시 뉴스: 폴리이미드필름(PI) 제조사인 PI첨단소재(178920)의 매각 무산을 둘러싸고 PI첨단소재의 납품 계약 해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P...

www.sedaily.com

 

PI첨단소재 향방 주시하는 또 다른 눈 '증권사 PE'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3. 2023년 목표주가 (H) 47,600원 (M) 37,300원 (L) 27,100원

4. 2024년 목표주가 (H) 57,100원 (M) 44,800원 (L) 32,600원

 

PI첨단소재.xlsx
0.30MB

 


22년 사업보고서

 22년 4Q 매출액 528.53억원, 영업이익 118.56억원, 순이익 75.28억원 공시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24.42%, -17.82%, -53.32% 감소

 - OPM은 22.43%로 21년 4Q 20.63%보다 증가했지만, NPM은 14.24%로 21년 4Q 23.06%보다 크게 감소

 - OPM은 상여금 충당금 환입에 따른 일시적 증가이며, NPM은 외환차이로 크게 감소

 매출의 약 65%, 35%를 차지하는 PI 수출, PI 내수가 각각 YoY -6.11%, -12.39% 감소

매출의 약 40%, 35%, 25%를 차지하는 FPCB용, 방열시트용, 첨단산업용 매출이 각각 YoY -8.92%, -5.93%, -11.26% 감소

 매출의 약 35%, 55%를 차지하는 국내, 중국이 각각 YoY -12.31%, -7.86% 감소

전방시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PI첨단소재의 시장점유율은 21년 31.2% → 22년 31.4%로 증가 (판매량 기준)

 - PI첨단소재의 매출액과 점유율 기준 PI필름 시장은 16년 6,485억원 -> 22년 8,803억원으로 CAGR 5.21% 성장

22년 PMDA, DMF 원가가 증가하면서 PI 단가도 인상

 판관비가 YoY -2.83% 감소했지만, 매출 감소로 판관비율은 21년 9.35% → 22년 9.92%로 증가

 

23.02.06_PI첨단소재_4Q22 IR자료.pdf
2.90MB

 


2월 수출입데이터

충청북도 진천군의 2월 PI첨단소재 관련 수출금액은 7,592천달러로 YoY -49.11% 감소, QoQ +143.26% 증가 (HS code: 39.20.99)

 - PI첨단소재의 23년 1Q 매출액은 매출액/수출금액 210%, 1~2M 수출금액 비중을 66%로 가정하여 374.96억원으로 추정

구분 매출액/수출금액 (단위: %)
160 170 180
1~2M 수출금액 비중
(단위: %)
60 31,425 33,389 35,353
64 29,461 31,302 33,143
68 27,728 29,461 31,194

 


PI첨단소재 이전글

 

[포니버스 #76] PI첨단소재_22년 2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중국 정부가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대기질 관리를 위해 공장 가동 제한하면서 DMF 가격이 22년 1Q 크게 상승하여 이익률 훼손되었으나 1월 이후 DMF 가격 안정적 2. 3월 전고객 대상 평균 10%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분석 파일의 비밀번호를 원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