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239] 제이시스메디칼_24년 1분기 보고서

by 포푸리 (POPOOLY) 2024. 5. 15.
반응형

RISK

1. 23년 3월 비올의 미국 파트너사인 Serendia에서 RF기기에 대한 ITC 소송을 제기하였으며 24년 7월 예비판결, 24년 11월 최종판결 예정. 이루다 등 일부 피소업체는 합의 완료

2. 23년 ITC 소송비용으로 인해 지급수수료가 약 30억원(월 3억원) 발생하여 OPM 감소했으며, 본판결 예정일인 24년 말까지 ITC 소송비용 발생 전망

3. 24년 1월 Cynosure가 루트로닉의 대주주인 한앤컴퍼니에 인수되었으며, Cynosure와의 POTENZA 독점 계약은 25년까지 유지 후 종료될 수 있음

4. HIFU 장비 판매량은 23년 1Q 이후 지속 감소 중이며, RF 장비도 23년 판매량 감소하여 Device 판매량은 21년 4Q 이후 정체되었으나 단가 상승으로 매출은 증가

5. 24년 1Q ITC 소송 비용에 더해 AVAVA 지분 투자 관련 일회성 지급수수료 20억원이 발생하고 인건비 증가로 인해 OPM/NPM 등 수익성 훼손

GOOD

1.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시장은 22년 167억달러 -> 30년 389억달러로 CAGR +11.15% 성장, EBD 시장은 22년 56.05억달러 -> 28년 111.50억달러로 CAGR +12.15% 성장 전망

2. Cynosure와의 포텐자 독점 공급계약(한국/일본 제외) MoQ는 19~21년 연 350대 -> 22년 540대 -> 23년 400대 -> 24년 475대이며, 23년 MoQ는 감소했으나 판가 20~30% 인상

3. 23년 7월 미국의 Reveal Lasers LLC와 24년 7월까지 150대 MoQ의 DENSITY HIGH(미국명: DENZA)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3년 10월 출시했으며, 23년 12월 일본에도 출시

4. DENSITY는 소모품 팁 가격이 POTENZA의 10~15배이고 소모품 GPM이 80~90% 수준으로 24년 하반기부터 수익성 향상에 기여 예상되며, 23년 총 200대 판매

5. 24년 1Q 국내 POTENZA/DENSITY 판매량이 140대로 원텍의 국내 올리지오/올리지오X 판매량 60대보다 많지만, 팁 판매량 및 소비자 인지도는 아직 올리지오가 높음

6. 23년 9월 중국에 4,000개 이상의 병원 네트워크를 보유한 아이메이커와 덴서티/리니어Z의 독점 판매권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으며, MoQ는 없고 계약기간은 10년 이상임

7. 24년 4월 Avava의 지분 10.17%을 202억원에 취득하여 MIRIA 레이저의 한국/일본 독점 유통 예정

기타

1. 2, 4>3>1분기 순으로 성수기

2. 24년 4월 칼라일이 제이시스메디칼을 주당 14,000대에 인수 및 공개매수 추진 검토 중이라는 기사 있음

 

칼라일도 미용기기 '러브콜'…제이시스메디칼 인수 추진 - 연합인포맥스

칼라일그룹이 국내 3대 미용기기 업체 중 하나인 제이시스메디칼의 인수를 추진한다.공개매수 방식을 통해 경영권을 확보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하는 상황으로, 우상향을 보이는 미용의료

news.einfomax.co.kr

주가

1. PSR, PGPR 기준 목표주가 설정

2. 2024년 목표주가 (H) 13,900원 (M) 10,700원 (L) 7,400원

3. 2025년 목표주가 (H) 17,000원 (M) 13,000원 (L) 9,100원

참고자료

1. https://blog.naver.com/bwt8307

 

제이시스메디칼.xlsx
0.36MB

 


산업 현황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시장은 22년 167억달러 → 30년 389.1억달러로 CAGR +11.15% 성장 전망

 글로벌 EBD 시장은 22년 56.05억달러 → 28년 111.50억달러로 CAGR +12.15% 성장 전망

 비침습 RF 장비 시장은 고가 시장을 타겟하는 Solta Medical과 중저가 시장을 타겟하는 원텍, 제이시스메디칼이 경쟁

 - 시술가격 기준, 원텍의 올리지오X는 Solta Medical의 써마지FLX보다 50%, 제이시스메디칼의 덴서티보다 33% 저렴

마이크로니들 RF 장비 시장은 고가 시장을 타겟하는 루트로닉과 중저가 시장을 타겟하는 제이시스메디칼, 비올, 이루다가 경쟁

HIFU 장비 시장은 고가 시장을 타겟하는 울쎄라와 중저가 시장을 타겟하는 클래시스, 하이로닉, 제이시스메디칼이 경쟁

 


24년 1분기 보고서

 24년 1Q 매출액 439.56억원, 영업이익 88.60억원, 순이익 69.25억원 공시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51.03%, +16.36%, +3.66% 증가

 - OPM, NPM은 각각 20.16%, 15.76%로 23년 1Q 26.16%, 22.95%보다 크게 감소

Device 내수, 소모품 내수가 각각 YoY +184.63%, +129.27%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8.18%, 5.27% → 24년 1Q 15.42%, 8.00%로 증가

 - 매출의 36.92%, 33.39%를 차지하는 Device 수출, 소모품 수출은 각각 YoY +36.85%, +30.80% 증가

RF 국내, 소모품 국내가 각각 YoY +478.38%, +129.27%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3.48%, 5.27% → 24년 1Q 13.33%, 8.00%로 증가

 - RF 해외가 YoY +79.81%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16.59% → 24년 1Q 19.75%로 증가

 - 매출의 약 6.15%를 차지하는 소모품 해외는 YoY 30.80% 증가

 - HIFU 국내는 YoY -36.75% 감소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3.38% → 24년 1Q 1.42%로 감소

국내, 아메리카가 각각 YoY +161.02%, +205.25%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13.92%, 5.99% → 24년 1Q 24.06%, 12.11%로 증가

 - 유럽이 YoY +131.13%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2.16% → 24년 1Q 3.31%로 증가

 - 매출의 57.79%를 차지하는 아시아가 YoY 21.72% 증가

Device와 소모품의 판매량은 각각 YoY +30.47%, +111.67% 증가

 - Device의 가격은 YoY +23.83% 증가했지만, 소모품의 가격은 YoY -32.61% 감소

POTENZA/DENSITY의 국내/해외 판매량이 각각 YoY +400.00%, +81.62% 증가

 - LinearFirm/LinearZ의 국내/해외 판매량은 각각 YoY -48.15%, -2.90% 감소

 - POTENZA/DENSITY와 LinearFirm/LinearZ의 가격은 각각 YoY +5.49%, +4.68% 증가

 지급수수료, 광고선전비가 각각 YoY +179.90%, +444.74% 증가해 매출 비중이 23년 1Q 6.84%, 2.36% → 24년 1Q 12.68%, 8.50%로 증가

 - 매출의 14.37%, 2.48%를 차지하는 급여, 경상연구개발비가 각각 YoY +42.62%, +38.28% 증가

 

24.05.10_제이시스메디칼_1Q24 IR자료.pdf
3.30MB

 


24년 매출/이익 추정

 24년 매출액 1,859.38억원, 영업이익 399.45억원, 순이익 272.80억원 추정

 - 24년 1Q 매출액 비중은 평년보다 보수적인 23.64%로 추정

 - 24년 OPM 21.48%로 24년 1Q 20.16%보다 증가하지만, NPM은 14.67%로 24년 1Q 15.76%보다 감소할 것으로 추정

구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1Q 매출액 29,104,842,943 25,334,283,272 18,284,081,299 11,660,337,512
연간 매출액 143,029,552,904 116,549,559,691 81,295,998,521 47,828,639,033
1Q 매출액 비중 20.35% 21.74% 22.49% 24.38%

수출입데이터

 서울시 금천구의 4월 제이시스메디칼 관련 수출액은 10,935천 달러로 YoY +25.47% 증가, QoQ -13.00% 감소 (HS code: 90.18.90)

 - 제이시스메디칼의 24년 2Q 매출액은 매출액/수출금액 120%, 1M 수출금액 비중 28% 가정하여 515.51억원으로 추정

구분 (단위: 백만원) 매출액/수출금액 (단위: %)
100 110 120
1M 수출금액 비중
(단위: %)
27 44,550 49,005 53,460
30 40,095 44,105 48,114
33 36,450 40,095 43,740

실적 전망

매출액이 23년 1,430.29억원 → 24년 1,859.07억원 → 25년 2,268.47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제이시스메디칼 이전글

 

[포니버스 #203] 제이시스메디칼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2년 LinearZ 출시로 장비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소모품 프로모션으로 GPM 감소했으며, 23년에도 Density 출시로 이익률 감소 전망 2. 23년 3월 비올의 미국 파트너사인 Serendia에서 RF기기에 대한 IT

popooly.tistory.com

경쟁사 최신글

 

[포니버스 #226] 클래시스_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고금리로 인해 100% 선수금을 주던 대리점들의 선투자가 어려워지면서 23년 1Q부터 매출채권이 급증하여 매출채권회전율이 크게 감소 GOOD 1. 에너지 기반 미용기기 시장은 22년 5.6조달러 -> 28

popooly.tistory.com

 

[포니버스 #224] 원텍_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제이시스메디칼이 올리지오X와 유사한 비침습RF기기 덴서티를 출시했으며, 24년 2월 기준 덴서티 도입 병원은 143점 2. 23년 4Q 광고선전비 29억원 집행으로 수익성 저하됐으며, 브라질향 라비

popooly.tistory.com

 

[포니버스 #222] 비올_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4년 브라질/중국향 실펌X 출시와 DUOTITE/CELLINEW의 출시에 따른 무상 팁 프로모션으로 이익률이 단기적으로 훼손될 것으로 예상 GOOD 1.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시장은 21년 150억달러 -> 30년 389억

popooly.tistory.com

 

[포니버스 #220] 하이로닉_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미용기기 1.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은 21년 189억달러 -> 27년 376억달러로 CAGR + 12.15% 성장, 글로벌 EBD 시장은 21년 42억달러 -> 27년 79억달러로 CAGR +11.10% 성장 전망 2. 23년 3월 MEDPRO와 브라질 ANVISA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 본 글에 포함되어 있는 주식을 보유 또는 매수/매도 할 수 있으나, 본 글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