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92] 이녹스첨단소재_22년 반기보고서

by 포푸리 (POPOOLY) 2022. 9. 25.
반응형

RISK

1. 19년부터 영업이익 대비 OCF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데,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의 증가 영향으로 보임

2. 전사 원재료 구매액에서 PI필름(from PI첨단소재)과 동박의 비중이 50% 이상으로 원재료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영향 크나 OLED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영향 감소 중

3. 글로벌 TV 판매 둔화 및 대형 OLED 디스플레이 재고 확대 영향으로 22년 하반기에는 성수기임에도 실적 성장 어려울 것으로 전망

GOOD

1. FPCB 소재/OLED 소재에서 국내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아이폰/OLED TV/폴더블 폰 등 OLED 전방산업 성장에 따라 OLED용 소재의 매출 비중 빠르게 상승

2. 중국향 매출의 성장이 베트남향 매출 감소를 메꿔주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신규 WOLED 공장의 가동률이 90%로 올라오면서 중국향 매출은 지속 성장 전망

3. 22년 LGD의 WOLED TV 시장 확대로 OLED TV 봉지재 수요 증가하면서 INNOLED TV 부문 매출액 비중이 19년 21.4% -> 20년 24.1% -> 21년 36.4% -> 22년 37.8%로 확대 전망

4. LGD의 대형 OLED 패널 출하가 19년 330만대 -> 20년 450만대 -> 21년 740만대 -> 22년 1,00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연초 전망됐지만 LGD의 하반기 출하량이 예상치 하회 중

5. 디스플레이 섹터의 수요 둔화에 따른 공급 과잉에도 불구하고 OLED TV용 필름 시장 내 점유율 상승과 폴더블, 노트북, 태블릿 향 특수필름 매출 확대로 매출/이익 견조

6.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 퀄 통과시 23년 매출 크게 성장할 수 있으며, XR용 OLEDoS 소재도 애플의 23년 1분기 XR기기 출시에 맞추어 성장 예상

 

[증권Now] 애플 XR기기 1분기 출시 맞춰 ‘OLEDoS’ 첨단소재 수혜 - 소비자경제신문

내년 1분기 애플의 확장현실(XR) 기기 출시가 가시권에 접어들면서 여기에 들어가는 OLEDoS(OLED on Silicon) 디스플레이에 어떤 소재가 사용되고, 어떤 기술이 접목되는 지 주목된다. 향후 디스플레이

www.dailycnc.com

 

삼성D·LGD, OLEDoS·LEDoS 모두 개발 계획...메타버스 시장 겨냥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본격화한다. 삼성전자와 애플 등 고객사 요청이 반영됐다. 이 분야 매출을 이미 올리고 있는 일본 소

www.thelec.kr

PRICE

1. POR, PCFR로 목표주가 설정

2. 아이폰을 비롯한 IT 고객사의 영향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성수기이며, 3분기가 가장 성수기

3. 2Q22 IR자료에 25년 매출 8,000억원, OPM 21% 목표로 21년비 64% 매출 성장되어야 하며, POR 기준 목표주가 밴드는 41,900~85,500원임

4. https://blog.naver.com/s103800

5. 2022년 목표주가 (H) 57,500원 (M) 41,700원 (L) 25,900원

6. 2023년 목표주가 (H) 63,300원 (M) 45,900원 (L) 28,500원

 

이녹스첨단소재.xlsx
0.23MB

 


22년 반기 보고서

 22년 2Q 매출 1,428.71억원, 영업이익 322.38억원, 순이익 346.41억원 공시

 -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31.80%, +61.82%, +80.03% 증가

 - OPM, NPM은 각각 22.56%, 24.25%로 21년 2Q 18.38%, 17.72%보다 증가

 매출의 약 55%, 20%를 차지하는 OLED용 소재(수출), FPCB용 소재(수출)이 각각 YoY +42.70%, +44.07% 증가

 매출의 약 60%, 30%를 차지하는 국내, 중국이 각각 YoY +22.67%, +62.76% 증가

 


22년 매출/이익 추정

 22년 매출액 5,360.21억원, 영업이익 1,209.07억원, 순이익 1,042.42억원 추정

 - 22년 반기 매출액 비중은 디스플레이 업황을 고려하여 평년보다 보수적인 51.10%로 추정

 - 22년 OPM, NPM은 각각 22.56%, 18.70%로 반기 23.08%, 22.14%보다 감소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반기 매출액 204,444,907,387 144,960,805,334 167,266,935,237
연간 매출액 487,292,463,999 336,257,633,456 349,330,168,052
반기 매출액 비중 41.96% 43.11% 47.88%

재고자산, 생산실적과 매출액

• 1분기 래깅한 재고자산과 매출액의 상관계수는 0.87이며, 2분기 래깅한 생산실적과 매출액의 상관계수는 0.88임

 - 매출액/재고자산을 2.1로 가정하여 이녹스첨단소재의 22년 3Q 매출액은 1,731.58억원으로 추정

구분 매출액/재고자산
2.0 2.3 2.6
22년 3Q 164,912,738,578 189,649,649,365 214,386,560,151

 - 매출액/생산실적을 10으로 가정하여 이녹스첨단소재의 22년 3Q 매출액은 1,214.40억원으로 추정

 - 22년 4Q에도 매출액/생산실적을 10으로 가정시, 이녹스첨단소재의 22년 매출액은 5,302.79억원으로 추정

구분 매출액/생산실적
9 10 11
22년 3Q 109,296,000,000 121,440,000,000 133,584,000,000
22년 4Q 121,446,000,000 134,940,000,000 148,434,000,000

 


이녹스첨단소재 이전글

 

[포니버스 #81] 이녹스첨단소재_22년 2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19년부터 OCF의 영업이익 대비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의 증가 영향으로 보이며, 22년 1Q는 법인세 납부로 크게 감소 2. 전사 원재료 구매액에서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분석 파일의 비밀번호를 원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