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1. 21년 하반기부터 해외법인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22~24년 LPGA의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22년부터 광고선전비 증가
2. 22년 4Q 매출 채권 회수가 어려운 거래선향 매출 취소를 단행하면서 매출/이익이 급감했으며, 23년에도 거래선 조정을 통해 900억원 수준으로 매출채권 감소 계획
3. 계획대로 900억원 수준으로 매출채권이 감소되면 23년 예상 매출 기준 회전율은 2회로 개선되지만, 현금전환주기는 200일 중후반대로 추가 개선 필요
4. 중국은 경쟁사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VBP 정책으로 인해 22년 하반기부터 수요 지연 발생 중이나 23년 하반기 해소 전망
GOOD
1.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은 20년 5.7조원 -> 31년 11조원으로 CAGR 7.5%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무치악 치료 시장은 20년 2.8조원이고 25년까지 CAGR 6.5% 성장 전망
2. 중국의 임플란트 식립수는 12년 18.3만개 -> 21년 500만개로 CAGR 39.2% 성장했으며, 1만명당 임플란트 식립수가 35개로 미국(80개), 독일(150개), 한국(500개)에 비해 부족
3. 22년 미국 나스닥 상장 덴탈 용품사, 1위 DSO H사와 공급계약 체결해 26년 1,180억원/600억원 매출 발생 전망되며, 2~5위 DSO사와 계약 중으로 23년 하반기 매출 발생 전망
4. Straumann의 22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DSO에서 시술되는 임플란트 비중은 21년 15% -> 25년 30%까지 상승 전망
5. 22년 하반기부터 송금 제재 완화로 이란향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매출 회복 견인 중
PRICE
1. PSR, PGPR, PBR 기준 목표주가 설정
2. 1 -> 4분기로 갈수록 성수기
3. 경영권 매각 계약 해제 후 재매각 진행 중으로,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가 구주 1,800억원, CB 900억원 매수우선협상 중이며, 해당 금액 기준 디오의 기업가치는 약 8,000억원 수준
'디오 인수 추진' 제이커브인베, 촉박한 시한에 딜 종결 '빨간불'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4. https://blog.naver.com/dionavi
5. 2023년 목표주가 (H) 50,600원 (M) 34,500원 (L) 18,400원
6. 2024년 목표주가 (H) 60,700원 (M) 41,400원 (L) 22,100원
23년 반기보고서
• 23년 2Q 매출액 437.99억원, 영업이익 102.26억원, 순이익 28.57억원 공시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26.90%, +867.87%, +50.43% 감소
- OPM, NPM은 각각 23.35%, 6.52%로 22년 2Q 3.06%, 5.50%보다 크게 증가
• 의료기기(수출)이 YoY +28.55% 증가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63.54% → 23년 2Q 66.39%로 증가
- 매출의 약 22%, 5%를 차지하는 의료기기(내수), 상품(내수)가 각각 YoY +15.06%, +24.13% 증가
- 상품(수출)이 YoY -1.58% 감소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6.70% → 23년 2Q 5.36%로 감소
• 중동이 YoY +124.46% 증가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8.95% → 23년 2Q 16.32%로 증가
- 매출의 약 28%를 차지하는 국내가 YoY +16.81% 증가
- 중국, 미국이 각각 YoY -28.81%, -4.93% 감소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18.10%, 11.68% → 23년 2Q 10.48%, 9.02%로 감소
• 지급수수료가 YoY -40.19% 감소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4.20% → 23년 2Q 2.04%로 감소
- 복리후생비가 YoY -10.04% 감소해 매출 비중이 22년 2Q 3.28% → 23년 2Q 2.40%로 감소
- 매출의 약 22%를 차지하는 급여가 YoY +13.67% 증가
23년 매출/이익 추정
• 23년 매출액 1,838.28억원, 영업이익 396.48억원, 순이익 204.57억원 추정
- 23년 상반기 매출액 비중은 평년보다 긍정적인 46.27%로 추정
- 23년 OPM, NPM은 각각 21.57%, 11.13%로 23년 상반기 23.93%, 16.66%보다 감소할 것으로 추정
구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상반기 매출액 | 69,131,693,939 | 71,708,399,309 | 55,982,868,599 | 59,352,893,609 |
연간 매출액 | 131,306,346,755 | 150,037,237,084 | 120,056,305,947 | 127,165,198,548 |
1H 매출액 비중 | 52.65% | 47.79% | 46.63% | 46.67% |
수출입데이터
• 부산시 해운대구의 8월 디오 관련 수출금액은 4,348천 달러로 YoY +219.47%, QoQ +31.56% 증가 (HS code: 90.21.29)
- 디오의 23년 3Q 매출액은 매출액/수출금액 280%, 1~2M 수출금액 비중 45% 가정하여 523.81억원으로 추정
구분 (단위: 백만원) | 매출액/수출금액 (단위: %) | |||
200 | 240 | 280 | ||
1~2M 수출금액 비중 (단위: %) |
40 | 42,092 | 50,510 | 58,928 |
45 | 37,415 | 44,898 | 52,381 | |
50 | 33,673 | 40,408 | 47,142 |
디오 이전글
[포니버스 #172] 디오_23년 2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해외법인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22~24년 LPGA의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22년부터 광고선전비 증가 2. 22년 4Q 매출 채권 회수가 어려운 거래선향 매출
popooly.tistory.com
경쟁사 최신글
[포니버스 #139] 덴티움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18년 이후 연구개발비용 감소 중이며, 순현금성 자산이 18~19년 크게 감소한 뒤 20년부터 조금씩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임 2. 중국 VBP를 통한 조달물량은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40%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