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포니버스

[포니버스 #229] LX세미콘_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by 포푸리 (POPOOLY) 2024. 2. 26.
반응형

RISK

1. 매출 비중이 약 5%인 LGD의 LCD TV 패널은 사업 철수 예정으로 국내 7세대 라인과 중국 광저우 8.5세대 라인 일부 가동 중단 후 24년 완전 철수 예정

2. 23년까지 애플향 DDI는 삼성전자와 LX세미콘(LGD/BOE 독점 공급)만 공급했지만, Novatek이 24년부터 LGD, 25년부터 BOE를 통해 공급하면서 점유율 경쟁 심화 예정

3. 23년 3Q LGD, BOE의 아이폰15향 P-OLED 패널 품질 이슈로 생산 지연되어 모바일 DDI 출하량 부진했으나, 4Q에 P-OLED 출하가 회복되며 실적 서프라이즈 달성

4. 23년 재고자산을 YoY -30% 줄였지만 여전히 평년 대비 2배 이상 많으며, 23년 4Q 매출채권이 크게 증가

GOOD

1. DDI 시장은 21년 119억달러 -> 22년 103억달러 -> 23년 89억달러 감소 전망되나 이후 반등하여 27년 102억달러로 CAGR +3.47% 성장 전망

2. 대형/소형 패널 판매량은 21년 12.1/19.30억개 -> 22년 10.88/16.10억개 -> 23년 10.34/15.61억개 감소 전망되나 반등하여 27년 11.53/18.41억개로 CAGR +2.76/4.21% 성장 전망

3. LX세미콘의 DDI 시장 점유율은 10.4%로 3위이며, LGD/BOE의 삼성전자/애플향 중소형 OLED 패널에 LX세미콘의 모바일 DDI가 적용

4. LGD의 대형 OLED 출하량은 23년 440만대 -> 24년 530만대로 YoY +20% 성장 목표이며, 24년 애플의 첫 OLED 아이패드에 LGD는 400만대 공급 전망

 

LGD, 올해 대형 OLED 출하량 목표 600만대 추정...생산능력은 1000만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디스플레이가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을 올해 20% 이상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지난해 LG디스플레이의 대형 OLED 출하량 추정치 400만대 중반의 20%는 90만대 수준이다. 올해..

www.thelec.kr

 

애플, 아이패드용 OLED 패널 주문량 하향 조정… 韓 디스플레이 업체 타격

애플, 아이패드용 OLED 패널 주문량 하향 조정 韓 디스플레이 업체 타격 삼성, LGD 아이패드 프로용 OLED 패널 양산 본격화 국내 디스플레이 기업 납품물량 200만~300만대 감소

biz.chosun.com

5.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3년 93.6억달러 -> 27년 126.3억달러로 CAGR +7.78% 성장 전망되며, LX세미콘은 LGD의 전장용 DDI를 단독 공급 중

 

이윤태 LX세미콘 신임 CEO, 전기차 시장 공략 ‘속도’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LG그룹 방계그룹 계열사 LX세미콘이 삼성전기 대표이사를 지낸 이윤태 사장을 새 경영진으로 맞아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구동칩(DDI) 매

www.sisajournal-e.com

6. 21년 FJ머티리얼즈 지분 30%를 인수하고 22년 12월 방열기판 공장을 완공해 생산 준비 중이며, 방열기판 시장은 전기차 시장 성장으로 22년~26년 CAGR 15% 성장 전망

 

LX세미콘, 올해 신사업 시동…기판 본격양산 '초읽기'

MTN NEWS

news.mtn.co.kr

7. 마이크로소프트와 TOF 계약 체결하고, PMIC 연구센터 신설, 충북 청주시에 SiC 전력반도체 R&D 설비 가동 준비 및 전문 인력 채용 등을 통해 신사업 진출 중

8. 22년 텔레칩스의 지분 10.9%를 취득하여 디스플레이향으로 집중되어 있던 SoC, MCU를 차량용/가전용으로 확대 계획

기타

1. 아이폰 OLED DDI 공급 영향으로 3>4>>2>1분기 순으로 성수기

주가

1. PSR, PGPR 기준 목표주가 설정

2. 2024년 목표주가 (H) 141,000원 (M) 109,000원 (L) 77,000원

3. 2025년 목표주가 (H) 155,000원 (M) 120,000원 (L) 84,000원

참고자료

1. https://post.naver.com/my.naver?memberNo=56175641

2. https://blog.naver.com/bluedot1932

3. https://blog.naver.com/kjins95

4. https://blog.naver.com/ks200331022

 

LX세미콘.xlsx
0.34MB

 


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23년 4Q 매출액 5,127.47원, 영업이익 671.50억원, 순이익 469.06억원 공시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12.33%, +429.08%, +280.64% 증가

 - OPM, NPM은 각각 13.10%, 9.15%로 22년 4Q 2.78%, 2.70%보다 크게 증가

Mobile이 YoY +6.09% 증가하여 매출 비중이 22년 36.84% → 23년 43.57%로 증가

 - TV, IT는 각각 YoY -24.04%, -14.82% 증가하여 매출 비중이 22년 33.81%, 23.32% → 23년 28.62%, 22.14%로 감소

Small DDI가 YoY +6.72% 증가하여 매출 비중이 22년 36.63% → 23년 43.57%로 증가

 - Large DDI가 YoY -19.12% 감소하여 매출 비중이 22년 51.97% → 23년 46.85%로 감소

 

24.01.25_LX세미콘_4Q23 IR자료.pdf
0.95MB

 


수출입데이터

대전시 유성구의 1월 LX세미콘 관련 수출액은 57,989천 달러로 YoY -1.88%, QoQ +38.44% 증가 (HS code: 85.42.39)

 - LX세미콘의 24년 1Q 매출액은 매출액/수출금액 300%, 1M 수출금액 비중 35% 가정하여 5,467.53억원으로 추정

구분 (단위: 백만원) 매출액/수출금액 (단위: %)
250 300 350
1M 수출금액 비중
(단위: %)
30 531,566 637,879 744,192
35 455,628 546,753 637,879
40 398,674 478,409 558,144

 


LX세미콘 이전글

 

[포니버스 #102] LX세미콘_22년 3Q 영업잠정실적

RISK 1. 주요 TV 패널 업체들의 3Q22 가동률은 역사상 가장 낮은 60~65% 수준까지 낮아졌으며, 부품 재고 조정과 LGD의 아이폰14 P-OLED 승인 지연으로 DDI 출하 급감 2. 옴디아에 따르면 대형/소형패널은 26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 본 글에 포함되어 있는 주식을 보유 또는 매수/매도 할 수 있으나, 본 글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