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1. 21년 하반기부터 해외법인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22~24년 LPGA의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22년부터 광고선전비 증가
2. 22년부터 하반기마다 매출채권 회수가 어려운 거래선향 매출 취소로 인해 매출/이익이 급감했으며, 거래선 조정을 통해 900억원 수준으로 매출채권 감소 계획이나 지연 중
3. 매출채권 통제에도 불구하고 매출채권은 22년 1,105억원 -> 23년 1,590억원으로 늘어났으며, 24년에는 매출채권 관리 강화와 함께 채용 제한 및 마케팅 절감 등 비용 통제 예정
GOOD
1.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은 20년 5.7조원 -> 31년 11조원으로 CAGR 7.5%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무치악 치료 시장은 20년 2.8조원이고 25년까지 CAGR 6.5% 성장 전망
2. 중국의 임플란트 식립수는 12년 18.3만개 -> 21년 500만개로 CAGR 39.2% 성장했으며, 1만명당 임플란트 식립수가 35개로 미국(80개), 독일(150개), 한국(500개)에 비해 부족
3. 22년 미국 나스닥 상장 덴탈 용품사 및 1위 DSO H사와 공급계약 체결해 26년 각각 1,180억원/600억원 매출 발생 전망
4. Straumann의 22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DSO에서 시술되는 임플란트 비중은 21년 15% -> 25년 30%까지 상승 전망
기타
1. 1 -> 4분기로 갈수록 성수기
2. 24년 2월 중 에이치PE가 디오의 850억원 규모의 CB 인수해 지분 약 20%를 확보하고 최대주주인 나이스그룹과 공동경영 예정
[단독] 에이치PE, 디오에 850억 투자 '공동 경영'
[단독] 에이치PE, 디오에 850억 투자 '공동 경영', 이달 전환사채 인수 계약 마무리 기업가치 회복해 새주인 찾을 듯
www.hankyung.com
에이치PE, 1호 펀드 마수걸이 투자처 '디오' 낙점 - 딜사이트
국내 3대 임플란트 제조사...850억 규모 CB 인수, 지분 20% 확보 전망
dealsite.co.kr:443
주가
1. PSR, PBR 기준 목표주가 설정
2. 2024년 목표주가 (H) 38,600원 (M) 28,700원 (L) 18,700원
3. 2025년 목표주가 (H) 42,500원 (M) 31,500원 (L) 20,600원
참고자료
1. https://blog.naver.com/dionavi
23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 23년 4Q 매출액 307.11원, 영업이익 -59.70억원, 순이익 -14.70억원 공시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YoY +27.85%, +49.35%, +43.98% 증가
- OPM, NPM은 각각 -19.44%, -47.87%로 22년 4Q -49.07%, -109.25%보다 개선
• 미국, 중동이 각각 YoY +25.97%, +51.18% 증가해 매출 비중이 22년 8.16%, 11.94% → 23년 8.67%, 15.21%로 증가
- 국내가 YoY +8.26% 증가해 매출 비중이 22년 30.53% → 27.86%로 감소
- 중국이 YoY -20.14% 감소해 매출 비중이 22년 15.16% → 10.21%로 감소
수출입데이터
• 부산시 해운대구의 1월 디오 관련 수출액은 2,099천 달러로 YoY -6.84%, QoQ -60.61% 감소 (HS code: 90.21.29)

- 디오의 24년 1Q 매출액은 매출액/수출금액 260%, 1M 검색량 비중 20% 가정하여 300.16억원으로 추정
구분 (단위: 백만원) | 매출액/수출금액 (단위: %) | |||
200 | 250 | 300 | ||
1M 수출금액 비중 (단위: %) |
15 | 30,785 | 38,482 | 46,178 |
20 | 23,089 | 28,861 | 34,634 | |
25 | 18,471 | 23,089 | 27,707 |
디오 이전글
[포니버스 #213] 디오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해외법인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22~24년 LPGA의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22년부터 광고선전비 증가 2. 22년 4Q 매출 채권 회수가 어려운 거래선향 매출
popooly.tistory.com
덴티움 최신글
[포니버스 #212] 덴티움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중국은 23년부터 VBP로 인해 가격은 약 20% 하락하였으나 경기 둔화로 판매량이 크게 늘지 않아 매출이 크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27년부터 2차 VBP로 추가 가격 하락 가능 덴티움, 중국서
popooly.tistory.com
※ 본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 본 글에 포함되어 있는 주식을 보유 또는 매수/매도 할 수 있으나, 본 글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