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306

[포니버스 #207] 노바렉스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18년부터 매출채권/재고자산 회전율이 악화되며 현금전환주기가 길어지고 있으며, 원재료 매입 및 재고자산이 증가하며 GPM이 감소하여 수익성도 악화 중 2. 이자보상배율이 19년 이후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순현금성자산도 19년 적자 전환 후 적자 심화되고 있음 GOOD 1. 글로벌 보충제 시장은 22년 기준 1,762억달러 규모이며, 미국(35.5%) > 중국(14.3%) > 서유럽(11.8%) > 라틴아메리카(8.8%) > 일본(7%) 순으로 점유율 큼 2. 중국 보충제 시장은 21년 242억달러 -> 25년 280억달러로 CAGR +3.7% 성장 전망되며, 1인당 소비금액이 18달러에 불과해 미국(187달러), 일본(96달러)에 비해 성장성 큼 3. 중국의 건기식 충성고객 비율은 10.. 2023. 11. 27.
[포니버스 #206] 원텍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제이시스메디칼이 올리지오X와 유사한 비침습RF기기 덴서티를 출시하여 올리지오X의 판매량이 올리지오에 미치지 못할 수 있음 GOOD 1. 미용기기 시장은 18년 91억달러 -> 24년 178억달러로 CAGR 12% 성장 전망되며, 24년 기준 아시아 36.9억(CAGR 21.1%), 유럽 47억(CAGR 11.5%), 미국 51억(CAGR 11.2%) 전망 2. 모노폴라 방식의 비침습 RF기기 올리지오는 장비/팁/시술단가가 각각 5,500만원/33만원/90만원 수준으로 써마지 3세대의 1억 5,000만원/120만원/240만원 대비 약 60% 저렴 3. 올리지오의 누적 판매량은 20년 133대 -> 21년 532대 -> 22년 919대 -> 23년 10월 1,500대로 증가했으며, 소모품 판매.. 2023. 11. 21.
[포니버스 #205]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2년부터 경쟁 완화되면서 광고선전비가 통제되기 시작했으나, 해외 및 오프라인 매장 출점으로 급여, 지급수수료, 외주용역비 증가하면서 판관비율은 50% 이상 유지 2. 23년 3Q 자사몰 가입자수 증가세가 7만명에 불과했으나, 4Q에는 블랙프라이데이 효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GOOD 1. 국내 애슬레저 시장은 16년 1.5조원 -> 20년 3조원 -> 22년 3.5조원으로 CAGR +15.17% 성장 중이며, 레깅스 시장은 16년 6,386억원 -> 20년 7,620억원으로 CAGR +4.52% 성장 2. 국내 레깅스 시장은 미국, 일본에 이어 글로벌 3위이며, 제시믹스는 고가성비/고기능성 포지셔닝으로 매출액의 80% 이상이 자사몰에서 발생하는 국내 1위 D2C 레깅스 브랜드 3. 맨즈,.. 2023. 11. 19.
[포니버스 #204] 더네이쳐홀딩스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캐리어 홈쇼핑과 로열티(3~5%)로 발생하는 지급수수료의 매출 비중이 30% 초중반으로 높으며, 23년 1H 신규 브랜드 출시에 따른 상품매입액/인건비 증가로 수익성 악화 2. 23년 3Q 외주가공비와 사용권자산상각비가 증가하여 OPM/NPM이 크게 훼손됐으며, 외주가공비가 YoY로 감소하여 4Q 실적도 좋지 않을 수 있음 더네이쳐홀딩스, 배럴 선전에도 3Q 수익성 악화 - 딜사이트 마크 곤잘레스·브롬톤 런던 초기 투자비 반영…"4분기 겨울 매출 회복 기대" dealsite.co.kr:443 3. 23년 3월 신사옥 착공을 해 24년 완공 예정이며, CAPEX 비용으로 인해 23년 1Q부터 OCF 증가에도 불구하고 FCF 크게 감소 4. 기존에 와릿이즌 브랜드를 사용하던 비케이브는 계약이 .. 2023. 11. 18.
[포니버스 #203] 제이시스메디칼_23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2년 LinearZ 출시로 장비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소모품 프로모션으로 GPM 감소했으며, 23년에도 Density 출시로 이익률 감소 전망 2. 23년 3월 비올의 미국 파트너사인 Serendia에서 RF기기에 대한 ITC 소송을 제기하여 진행 중으로 24년 4월 예비판결, 하반기 최종판결 예정 3. 23년 1H 해외영업/연구개발 인력 채용과 Density 출시/허가로 인해 급여/연구개발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3Q에는 ITC 소송비용 집중되어 지급수수료 증가하여 수익성 훼손 GOOD 1. 미용기기 시장은 18년 91억달러 -> 24년 178억달러로 CAGR 12% 성장 전망되며, 24년 기준 아시아 36.9억(CAGR 21.1%), 유럽 47억(CAGR 11.5%), 미국 51억(.. 2023. 11. 15.
[포니버스 #202] 아프리카TV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19년부터 MAU/MUV가 지속 감소했고, PU/ARPPU도 구글 인앱 결제 정책 변화로 감소하고 있으나 트위치의 한국 사업 축소 반사 수혜로 22년 4Q부터 회복 중 2. Best/Partner BJ의 별풍선 기여도가 늘어나면서 수수료율이 30% 후반 -> 30% 초반까지 떨어지고 있으며, 순매출로 인식하고 있어 별풍선 거래액에 비해 매출 증가는 제한적 3. 지급수수료와 컨텐츠제작비가 높아 마진율이 낮은 컨텐츠형 광고 중심 성장으로 방향성이 전환되며 수익성은 중장기적으로 감소 전망 4. 23년 광고 총매출 목표는 1,000억원이었으나 광고 시장 둔화로 22년 수준의 광고 매출 달성할 것으로 전망 GOOD 1. 20~40대 남성 비중이 80% 이상인 충성 고객 중심 플랫폼으로 트위치보다 M.. 2023. 11. 12.
[포니버스 #201] NAVER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경기 둔화로 DA 매출이 22년 4Q부터 YoY 감소 중이지만, SA 매출이 선방하면서 서치플랫폼 매출을 방어하고 있으며, 4Q에는 경기가 소폭 회복되면서 서치플랫폼 회복 기대 2. 22년 콘텐츠의 매출 인식을 총액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매출 비중이 21년 9.68% -> 22년 15.35%로 급증했으나 실제 웹툰 거래액 성장은 둔화됐으며, 23년부터 거래액 다시 성장 3. 23년 1Q부터 서버 및 부품의 내용연수를 4년 -> 5년으로 연장하면서 분기당 약 225억원 비용 절감 GOOD 1. 브랜드스토어 거래액의 30%로 추정되는 도착보장 서비스는 거래액 기준 MoM 9~10% 성장 중이고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80% 성장 전망되며, 10.5일부터 1.5% 과금 시작 2. 브랜드 스토어는 20.. 2023. 11. 11.
[포니버스 #200] PI첨단소재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2년 3Q부터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23년 1Q부터 가동률을 떨어뜨리면서 23년 1Q 1,000톤(3개월치) -> 23년 2Q 540톤(1.5개월치) -> 23년 3Q 562톤으로 정상화 2. 북미 고객사의 설계 변경으로 방열시트 채택 면적이 감소하여 방열시트 매출 회복 부진하며, 전방산업의 7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 수요는 24년 2분기부터 회복 전망 GOOD 1. 2014년부터 PI필름 판매량 기준 글로벌 1위이며, PI첨단소재의 매출액과 점유율 기준 PI필름 시장은 16년 6,485억원 -> 22년 8,803억원으로 CAGR 5.21% 성장 2. EV/배터리용 PI필름 시장은 매년 30% 성장 전망되며, 원통형이 각형보다 PI 사용량이 3배 많은데, 24년 IRA 효과와 C.. 2023. 11. 8.
[포니버스 #199] F&F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국내 아웃도어 상위 9개 브랜드의 1~9월 매출은 YoY +4.0% 성장했으나, 경기 둔화와 지구 온난화로 노스페이스(1위, YoY +28.0%), 코오롱스포츠(4위, YoY +18.4%) 외에는 감소 2. 디스커버리는 9월과 1~9월 매출이 각각 254.9억원, 2,897억원으로 YoY -16.5%, -3.5% 감소했으며, 아웃도어 7개 브랜드 내 점유율도 22년 6월 17.1% -> 23년 6월 15.7%로 감소 7大 아웃도어, 시장 점유율 변화 최근 아웃도어 상위권 브랜드들의 점유율 변화가 눈에 띈다. 노스페이스, 디스커버리, K2, 코오롱스포츠, 네파, 블랙야크, 아이더(매출순) 등 주요 7개 브랜드의 올 상반기 평균 실적은 전년 동 m.apparelnews.co.kr 아웃도어, 9.. 2023. 11. 6.
[포니버스 #198] 하이로닉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코로나19가 발생한 20년 이후 해외매출 비중이 크게 감소하면서 국내 매출 비중이 20년 43.30% -> 22년 58.75%로 증가 GOOD 1.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은 22년 139억달러 -> 27년 234억달러로 CAGR 11% 성장, 홈 뷰티기기 시장은 22년 140억달러 -> 30년 899억달러로 CAGR +26.1% 성장 전망 2. 21년 8월 출시된 V-RO는 HIFU와 RF를 하나의 핸드피스로 조사 가능하며, 22년 1Q 69대 -> 22년 2Q 105대 -> 22년 3Q 151대로 판매량 증가해 23년 1Q 누적 662대 판매 3. 고가에 출시되었던 V-RO의 가격을 23년 2월 40% 인하하고 렌탈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클래시스의 판매 전략을 벤치마크하여 2Q부터 .. 2023.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