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기기33

[포니버스 #108] 파마리서치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인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영향으로 22년 파마리서치바이오 이익 급감 식약처 vs 톡신업계, '간접수출' 논란 재점화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 휴메딕스가 PN+리도카인이 주성분인 belPN을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22년 1월 탐색 임상시험 신청했으며, PN 관절강주사 하이엔주도 23년 출시 예정 휴메딕스, 3분기 매출 319억원… 전년대비 39% 고성장 - 메디소비자뉴스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3분기 개별기준으로 매출 319억원, 영업이익 78억원, 당기순이익 62억원을 각각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2022. 11. 20.
[포니버스 #107] 루트로닉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경쟁사와 달리 소모품의 매출 비중이 10% 내외에 불과하여 매출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매출채권 회전율은 괜찮지만 충당금 설정율이 지속 증가 2. 매출 내 직접판매 채널 비중이 63%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며, 22년 미국 법인 내 신규 직원 채용이 지속되면서 매출 대비 급여 비중이 20% 수준까지 상승 GOOD 1.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은 20년 약 40억달러 -> 23년 약 54억달러로 CAGR 9.8% 성장 전망 2. 주요 기기 가격이 1억원을 넘어서며 ASP가 19년 3,900만원 -> 22년 2Q 6,300만원으로 상승했으며, RF/EM 기기는 GPM 80%, 레이저 기기는 GPM 60% 이상 추정 3.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 2022. 11. 16.
[포니버스 #106] 제이시스메디칼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2년 LinearZ 출시로 장비 매출 비중이 높아지면서 GPM 감소했으며, 23년에도 신제품 출시 지속되어 수익성 악화 가능 GOOD 1. 글로벌 미용기기 시장은 18년 91억달러 -> 24년 178억달러로 CAGR 12% 성장 예상되며, 아시아 36.9억(CAGR 21.1%), 유럽 47억(CAGR 11.5%), 미국 51억(CAGR 11.2%) 추정 2. 22년 3월 북미지역 시장점유율 1위인 Cynosure LLC와 RF기기인 POTENZA의 독점 공급계약(한국/일본 제외)을 기존 MoQ 연 350대에서 연 550대로 상향 재계약 3. 22년 하반기 HIFU기기인 리니어펌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리니어Z 제품을 출시했으며, Dot/Linear 시술과 깊이 조절이 가능해 리니어펌보다 시술.. 2022. 11. 14.
[포니버스 #105] 클래시스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신사옥 매입(1,250억원)으로 장기차입금이 증가하여 21년 4Q부터 부채비율/이자비용 크게 증가하고 순현금성 자산 악화됐으나 22년 10월 구사옥 매각해 차입금 350억원 상환 2. 판매수수료는 국내 장비 판매 비중에 따라 변동하며, 22년 1~2Q 슈링크 유니버스 출시 효과로 크게 증가했고 22년 4Q에는 볼뉴머 출시 효과 영향 전망 3. 21년 4Q부터 제품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했으며, 22년에는 재공품/원재료 재고자산도 크게 상승해 재고자산 회전율 크게 감소 GOOD 1. 글로벌 피부 미용 시장은 20년 20억달러 -> 28년 52억달러로 CAGR 13%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HIFU 장비 시장은 22년 4.57억달러 -> 27년 6.43억달러로 CAGR 7% 성장 전망 2. 14.. 2022. 11. 13.
[포니버스 #98] 루트로닉_22년 반기보고서 RISK 1. 소모품의 매출 비중이 10%에 불과하여 매출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22년 하반기~23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 시 미용기기 수요 감소 가능 2. 매출 내 직접판매 채널 비중이 65.6%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지만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용이하며 매출 상승 시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GOOD 1.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은 21년 105억달러 -> 29년 248억달러로 성장 전망 2. 19년부터 ASP가 0.8~1.2억원으로 기존 대비 2~3배이고, GPM 70%대인 소모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면서 수익성 개선되며, 프리미엄 장비 비중이 50%로 늘어나면서 매출 확대 3.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라, 더마V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 2022. 10. 13.
[포니버스 #97] 클래시스_22년 반기보고서 RISK 1. 신사옥 안제타워 매입(1,250억원)을 위해 장기차입금이 증가하면서 21년 4Q부터 부채비율 크게 증가하고 순현금성 자산 악화 2. 21년 4Q부터 판관비 상승했는데 슈링크 유니버스 출시에 따른 판매수수료 증가 및 TV 광고 영향 3. 21년 4Q부터 제품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했으며, 22년에는 재공품/원재료 재고자산도 크게 상승해 재고자산 회전율 크게 감소 GOOD 1. 21년 10월 출시된 슈링크 유니버스는 14년 출시된 슈링크의 교체 시기(미용기기의 평균 수명 5~7년)와 맞물려 1Q 550대, 2Q 350대를 판매했으며, 하반기에는 400대 판매 전망 2. 슈링크 유니버스는 통증 감소로 시술시간이 10분 -> 3~4분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핸드피스 증가와 기존 초음파 젤을 대체하는.. 2022. 10. 10.
[포니버스 #91] 파마리서치_22년 반기보고서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를 차지하는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영향으로 22년 상반기 이익 급감 2. 휴메딕스가 PN+리도카인이 주성분인 belPN을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22년 1월 탐색 임상시험 신청했으며, PN 관절강주사도 올해 말 폼목 허가 신청 예정 3. 22년 상반기 광고선전비가 증가하면서 판관비율 증가했지만 GPM이 좋아지면서 OPM은 21년과 비슷했으며, 하반기에는 21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 전망 GOOD 1. 콘쥬란의 타겟인 국내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400만 명 이상이며, 관절강 주사제를 처방받은 환자 수는 240만 명 이상으로 국내 시장은 4,000억원 수준으로 추정 2. 20년 3월부터 .. 2022. 8. 23.
[포니버스 #87] 루트로닉_22년 2분기 영업잠정실적/7월 수출입데이터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생산직/영업직 인력을 20명 이상 채용하면서 이익률이 감소했지만, 교육기간 3~6개월 감안시 22년부터 매출 성장하면서 이익률 개선 예상 2. 소모품의 매출 비중이 5%에 불과하여 매출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22년 하반기~23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 시 미용기기 수요 감소 가능 3. 매출 내 직접판매 채널 비중이 65.6%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지만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용이하며 매출 상승 시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GOOD 1. 19년부터 ASP가 0.8~1.2억원으로 기존 대비 2~3배이고, GPM 70%대인 소모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면서 수익성 개선되며, 프리미엄 장비 비중이 50%로 늘어나면서 매출 확대 2.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 2022. 8. 16.
[포니버스 #65] 루트로닉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생산직/영업직 인력을 20명 이상 채용하면서 이익률이 감소했지만, 교육기간 3~6개월 감안시 22년부터 매출 성장하면서 이익률 개선 예상 2. 22년 하반기~23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 시 미용기기 수요 감소 가능 GOOD 1. 19년부터 ASP가 0.8~1.2억원으로 기존 대비 2~3배이고, GPM 70%대인 소모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면서 수익성 개선되며, 프리미엄 장비 비중이 50%로 늘어나면서 매출 확대 2.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라, 더마V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미국법인의 매출 및 수익성 지속 개선 중 3. 22년 3월 혈관치료기기 Derma V의 미국 판매 시작됐으며, 4Q에는 소모품 이.. 2022. 7. 3.
[포니버스 #59] 파마리서치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를 차지하는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때문인지 22년 1Q 이익 급감 2. 휴메딕스가 PN과 리도카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메디필러를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국내에는 23년 출시 예정이며, PN 관절강주사도 올해 말 폼목 허가 신청 예정 '파마리서치와 시장 양분을 꿈꾼다'...휴메딕스, PN 관절염주사제로 출사표 휴메딕스가 파마리서치와 함께 PN·PDRN 시장 양분을 꿈꾸고 있다.휴메딕스 연구소 전경. (제공=휴메딕스)16일 업계에 따르면, 휴메딕스(200670)는 현재 PN과 리도카인(마취제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 www.edaily.co.kr [파마리서치] 현재 상황 및 팔로워들에 대한 생.. 2022.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