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이시스메디칼34

[주식다반사 #11] 23년 3월 투자보고서 투자수익률 • 일반계좌 종목명 수량 평균단가 현재가 손익 손익률 비고 테이팩스 64 62,165 61,000 +237,020 +6.48% 추가매수 F&F 58 138,446 139,500 +3,559 +0.04% 추가매수 리노공업 43 137,845 143,300 -815,336 -11.71% 신흥에스이씨 61 49,503 51,400 +237,415 +8.21% 에스티팜 64 94,616 74,000 -281,027 -5.61% 바텍 215 32,679 32,500 -2,780 -0.04% 추가매수 클래시스 420 16,717 21,750 +565,846 +6.62% 제이시스메디칼 355 8,402 8,610 -295,919 -8.84% 추가매수 루트로닉 53 18,952 25,400 -66,108 -.. 2023. 4. 1.
[포니버스 #135] 클래시스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신사옥 매입(1,250억원)으로 장기차입금이 증가하여 21년 4Q부터 부채비율/이자비용 크게 증가했으나 22년 10월 구사옥 매각해 차입금 350억원 상환 2. 판매수수료는 국내 장비 판매 비중에 따라 변동되어 22년 1~2Q 슈링크 유니버스 출시 효과로 크게 증가했으며, 23년 상반기에는 볼뉴머 출시 영향 전망 GOOD 1. 글로벌 피부 미용 시장은 20년 20억달러 -> 28년 52억달러로 CAGR 13%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HIFU 장비 시장은 22년 4.57억달러 -> 27년 6.43억달러로 CAGR 7% 성장 전망 2. 14년 출시된 슈링크는 국내 누적 3,500대를 판매해 M/S 35%로 HIFU 장비 1위이며, 21년 출시된 슈링크 유니버스는 교체 시기(평균 5~7년)와 맞.. 2023. 2. 23.
[포니버스 #130] 제이시스메디칼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2년 LinearZ 출시로 장비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소모품 프로모션으로 GPM 감소했으며, 23년에도 신제품 출시 예정되어 이익률 감소 가능 GOOD 1. 글로벌 미용기기 시장은 18년 91억달러 -> 24년 178억달러로 CAGR 12% 성장 예상되며, 아시아 36.9억(CAGR 21.1%), 유럽 47억(CAGR 11.5%), 미국 51억(CAGR 11.2%) 추정 2. 22년 북미 시장점유율 1위인 Cynosure LLC와 19년 출시한 RF기기 POTENZA의 독점 공급계약(한국/일본 제외)을 MoQ 연 350대 -> 연 550대로 상향 재계약 3. 22년 하반기 HIFU기기 리니어펌의 신규 버전인 리니어Z 출시했으며, 카트리지 한 개에서 Dot/Linear 시술과 깊이 조절이 .. 2023. 2. 9.
[주식다반사 #9] 23년 1월 투자보고서 투자수익률 • 일반계좌 종목명 수량 평균단가 현재가 손익 손익률 비고 테이팩스 49 61,866 55,400 +146,706 +5.73% F&F 54 137,861 151,700 +426,106 +5.50% 추가매수 리노공업 43 137,897 170,500 +643,690 +9.65% 신흥에스이씨 61 49,498 47,800 +395,697 +15.74% 에스티팜 64 94,630 81,300 -402,374 -7.19% 덴티움 76 61,458 117,500 +1,820,369 +16.00% 일부매도 바텍 169 32,715 35,500 +410,853 +7.37% 추가매수 클래시스 420 16,710 18,750 +146,706 +1.90% 제이시스메디칼 240 8,219 8,770 +59,880.. 2023. 2. 5.
[주식다반사 #5] 22년 12월 투자보고서 12월 투자일기 개인적으로 12월에 가장 고민이었던 점은 투자 그 자체라기 보다는 금리였다. 현재 전세로 거주를 하고 있는데, 전세 대출의 금리가 매우 크게 오른 것이다. 6개월 변동 금리로 대출을 받았었는데 이번에 기준금리가 2배 이상 올랐고, 이로 인해 월 평균 근로소득의 약 30~40%를 대출 금리로 지출하게 됐다. 다행히도 현금을 어느정도 보유하고 있었기에 고민 끝에 대출 일부를 상환하기로 결정했다. 이제와서 생각해보면 당시에 고정금리로 대출받을 생각을 하지 않은 점이 참 아쉽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이미 벌어진 일인 것을... 요즘 들어 금리가 많이 오르다보니 부동산 투자의 가치가 올라가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조금씩 한다. 전세라는 것은 임대인 입장에서는 무이자 대출인데, 금리가 올라갈수록 무.. 2022. 12. 31.
[포니버스 #108] 파마리서치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인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영향으로 22년 파마리서치바이오 이익 급감 식약처 vs 톡신업계, '간접수출' 논란 재점화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 휴메딕스가 PN+리도카인이 주성분인 belPN을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22년 1월 탐색 임상시험 신청했으며, PN 관절강주사 하이엔주도 23년 출시 예정 휴메딕스, 3분기 매출 319억원… 전년대비 39% 고성장 - 메디소비자뉴스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3분기 개별기준으로 매출 319억원, 영업이익 78억원, 당기순이익 62억원을 각각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2022. 11. 20.
[포니버스 #107] 루트로닉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경쟁사와 달리 소모품의 매출 비중이 10% 내외에 불과하여 매출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매출채권 회전율은 괜찮지만 충당금 설정율이 지속 증가 2. 매출 내 직접판매 채널 비중이 63%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며, 22년 미국 법인 내 신규 직원 채용이 지속되면서 매출 대비 급여 비중이 20% 수준까지 상승 GOOD 1.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은 20년 약 40억달러 -> 23년 약 54억달러로 CAGR 9.8% 성장 전망 2. 주요 기기 가격이 1억원을 넘어서며 ASP가 19년 3,900만원 -> 22년 2Q 6,300만원으로 상승했으며, RF/EM 기기는 GPM 80%, 레이저 기기는 GPM 60% 이상 추정 3.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 2022. 11. 16.
[포니버스 #106] 제이시스메디칼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22년 LinearZ 출시로 장비 매출 비중이 높아지면서 GPM 감소했으며, 23년에도 신제품 출시 지속되어 수익성 악화 가능 GOOD 1. 글로벌 미용기기 시장은 18년 91억달러 -> 24년 178억달러로 CAGR 12% 성장 예상되며, 아시아 36.9억(CAGR 21.1%), 유럽 47억(CAGR 11.5%), 미국 51억(CAGR 11.2%) 추정 2. 22년 3월 북미지역 시장점유율 1위인 Cynosure LLC와 RF기기인 POTENZA의 독점 공급계약(한국/일본 제외)을 기존 MoQ 연 350대에서 연 550대로 상향 재계약 3. 22년 하반기 HIFU기기인 리니어펌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리니어Z 제품을 출시했으며, Dot/Linear 시술과 깊이 조절이 가능해 리니어펌보다 시술.. 2022. 11. 14.
[포니버스 #105] 클래시스_22년 3분기 보고서 RISK 1. 신사옥 매입(1,250억원)으로 장기차입금이 증가하여 21년 4Q부터 부채비율/이자비용 크게 증가하고 순현금성 자산 악화됐으나 22년 10월 구사옥 매각해 차입금 350억원 상환 2. 판매수수료는 국내 장비 판매 비중에 따라 변동하며, 22년 1~2Q 슈링크 유니버스 출시 효과로 크게 증가했고 22년 4Q에는 볼뉴머 출시 효과 영향 전망 3. 21년 4Q부터 제품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했으며, 22년에는 재공품/원재료 재고자산도 크게 상승해 재고자산 회전율 크게 감소 GOOD 1. 글로벌 피부 미용 시장은 20년 20억달러 -> 28년 52억달러로 CAGR 13%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HIFU 장비 시장은 22년 4.57억달러 -> 27년 6.43억달러로 CAGR 7% 성장 전망 2. 14.. 2022. 11. 13.
[포니버스 #98] 루트로닉_22년 반기보고서 RISK 1. 소모품의 매출 비중이 10%에 불과하여 매출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22년 하반기~23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 시 미용기기 수요 감소 가능 2. 매출 내 직접판매 채널 비중이 65.6%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지만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용이하며 매출 상승 시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GOOD 1.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은 21년 105억달러 -> 29년 248억달러로 성장 전망 2. 19년부터 ASP가 0.8~1.2억원으로 기존 대비 2~3배이고, GPM 70%대인 소모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면서 수익성 개선되며, 프리미엄 장비 비중이 50%로 늘어나면서 매출 확대 3.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라, 더마V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 2022.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