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분석239

[포니버스 #202] 아프리카TV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19년부터 MAU/MUV가 지속 감소했고, PU/ARPPU도 구글 인앱 결제 정책 변화로 감소하고 있으나 트위치의 한국 사업 축소 반사 수혜로 22년 4Q부터 회복 중 2. Best/Partner BJ의 별풍선 기여도가 늘어나면서 수수료율이 30% 후반 -> 30% 초반까지 떨어지고 있으며, 순매출로 인식하고 있어 별풍선 거래액에 비해 매출 증가는 제한적 3. 지급수수료와 컨텐츠제작비가 높아 마진율이 낮은 컨텐츠형 광고 중심 성장으로 방향성이 전환되며 수익성은 중장기적으로 감소 전망 4. 23년 광고 총매출 목표는 1,000억원이었으나 광고 시장 둔화로 22년 수준의 광고 매출 달성할 것으로 전망 GOOD 1. 20~40대 남성 비중이 80% 이상인 충성 고객 중심 플랫폼으로 트위치보다 M.. 2023. 11. 12.
[포니버스 #201] NAVER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경기 둔화로 DA 매출이 22년 4Q부터 YoY 감소 중이지만, SA 매출이 선방하면서 서치플랫폼 매출을 방어하고 있으며, 4Q에는 경기가 소폭 회복되면서 서치플랫폼 회복 기대 2. 22년 콘텐츠의 매출 인식을 총액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매출 비중이 21년 9.68% -> 22년 15.35%로 급증했으나 실제 웹툰 거래액 성장은 둔화됐으며, 23년부터 거래액 다시 성장 3. 23년 1Q부터 서버 및 부품의 내용연수를 4년 -> 5년으로 연장하면서 분기당 약 225억원 비용 절감 GOOD 1. 브랜드스토어 거래액의 30%로 추정되는 도착보장 서비스는 거래액 기준 MoM 9~10% 성장 중이고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80% 성장 전망되며, 10.5일부터 1.5% 과금 시작 2. 브랜드 스토어는 20.. 2023. 11. 11.
[포니버스 #200] PI첨단소재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2년 3Q부터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23년 1Q부터 가동률을 떨어뜨리면서 23년 1Q 1,000톤(3개월치) -> 23년 2Q 540톤(1.5개월치) -> 23년 3Q 562톤으로 정상화 2. 북미 고객사의 설계 변경으로 방열시트 채택 면적이 감소하여 방열시트 매출 회복 부진하며, 전방산업의 7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 수요는 24년 2분기부터 회복 전망 GOOD 1. 2014년부터 PI필름 판매량 기준 글로벌 1위이며, PI첨단소재의 매출액과 점유율 기준 PI필름 시장은 16년 6,485억원 -> 22년 8,803억원으로 CAGR 5.21% 성장 2. EV/배터리용 PI필름 시장은 매년 30% 성장 전망되며, 원통형이 각형보다 PI 사용량이 3배 많은데, 24년 IRA 효과와 C.. 2023. 11. 8.
[포니버스 #199] F&F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국내 아웃도어 상위 9개 브랜드의 1~9월 매출은 YoY +4.0% 성장했으나, 경기 둔화와 지구 온난화로 노스페이스(1위, YoY +28.0%), 코오롱스포츠(4위, YoY +18.4%) 외에는 감소 2. 디스커버리는 9월과 1~9월 매출이 각각 254.9억원, 2,897억원으로 YoY -16.5%, -3.5% 감소했으며, 아웃도어 7개 브랜드 내 점유율도 22년 6월 17.1% -> 23년 6월 15.7%로 감소 7大 아웃도어, 시장 점유율 변화 최근 아웃도어 상위권 브랜드들의 점유율 변화가 눈에 띈다. 노스페이스, 디스커버리, K2, 코오롱스포츠, 네파, 블랙야크, 아이더(매출순) 등 주요 7개 브랜드의 올 상반기 평균 실적은 전년 동 m.apparelnews.co.kr 아웃도어, 9.. 2023. 11. 6.
[포니버스 #198] 하이로닉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코로나19가 발생한 20년 이후 해외매출 비중이 크게 감소하면서 국내 매출 비중이 20년 43.30% -> 22년 58.75%로 증가 GOOD 1.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은 22년 139억달러 -> 27년 234억달러로 CAGR 11% 성장, 홈 뷰티기기 시장은 22년 140억달러 -> 30년 899억달러로 CAGR +26.1% 성장 전망 2. 21년 8월 출시된 V-RO는 HIFU와 RF를 하나의 핸드피스로 조사 가능하며, 22년 1Q 69대 -> 22년 2Q 105대 -> 22년 3Q 151대로 판매량 증가해 23년 1Q 누적 662대 판매 3. 고가에 출시되었던 V-RO의 가격을 23년 2월 40% 인하하고 렌탈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클래시스의 판매 전략을 벤치마크하여 2Q부터 .. 2023. 11. 5.
[포니버스 #197] 제이브이엠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0년 이후 원재료 매입액의 20%를 차지하는 보드류 가격이 2배 이상 증가해 GPM 감소했으나, 21년 하반기~22년 장비/소모품 단가 인상해 22년부터 GPM 회복 2. 매년 4분기에 자산화한 개발비의 손상차손을 기타비용으로 인식해 순이익 급감하며, 옵티머스 사모투자신탁 100억원이 비유동 금융자산으로 반영되어있어 기타비용 발생 중 GOOD 1. 파우치형 약국 조제/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일본 3개사를 포함한 4개사가 과점 중이며, 제이브이엠이 국내(90%), 북미(70%), 유럽(70%) 점유율 1위로 글로벌 점유율 1위 2. 글로벌 약국 자동화 시장(조제, 포장 및 라벨링, 저장 및 검색, 검수)은 22년 51억달러 -> 30년 116억달러로 CAGR +9.8% 성장 전망되며, 북미(.. 2023. 11. 2.
[포니버스 #196] 티씨케이_23년 3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SiC소재의 제조 방법 특허는 인정됐지만 소재/물성 특허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하나머티리얼즈 등 경쟁사 진입으로 점유율이 20년 80% -> 23년 65%로 감소 중 2. 삼성전자가 TEL의 신형 식각장비를 도입해 테스트 중이며, 해당 장비를 활용하면 25년 양산 예정인 V10 낸드 식각을 3스택 -> 2스택으로 줄일 수 있어 TEL의 점유율 증가 전망 3. TEL은 하나머티리얼즈의 2대 주주로 TEL의 점유율이 증가하면 하나머티리얼즈의 점유율도 증가할 수 있으며, 22년 6월~23년 12월 1,253억원 투자하여 공장 신설 중 4. 반도체 업황 악화와 미국의 대중국 제재 조치로 애프터마켓(케이엔제이, 월덱스)이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으로 티씨케이의 SiC링도 수출되는 .. 2023. 10. 30.
[포니버스 #195] 노바렉스_23년 반기보고서 RISK 1. 18년부터 매출채권/재고자산 회전율이 악화되며 현금전환주기가 길어지고 있으며, 원재료 매입 및 재고자산이 증가하며 GPM이 감소하여 수익성도 악화 중 2. 이자보상배율이 19년 이후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순현금성자산도 19년 적자 전환 후 적자 심화되고 있음 3. 국내 건기식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22년 2Q부터 국내 매출은 지속 감소 중 GOOD 1. 글로벌 보충제 시장은 22년 기준 1,762억달러 규모이며, 미국(35.5%) > 중국(14.3%) > 서유럽(11.8%) > 라틴아메리카(8.8%) > 일본(7%) 순으로 점유율 큼 2. 중국 보충제 시장은 21년 242억달러 -> 25년 280억달러로 CAGR +3.7% 성장 전망되며, 1인당 소비금액이 18달러에 불과해 미국(1.. 2023. 10. 10.
[포니버스 #194] 티앤엘_23년 반기보고서 RISK 1. HERO COSMETICS의 매출 비중이 지나치게 커져 고객사 다변화 필요 GOOD 1. 글로벌 창상피복재 시장은 17년 35.3억달러 -> 25년 54.5억달러로 CAGR +5.6% 성장 전망되며, 국내 시장은 22년 3,319억원 -> 26년 3,856억원으로 CAGR +7% 성장 전망 2. 창상피복재 시장이 가장 큰 미국은 17년 9.7억달러 -> 25년 14.2억달러로 CAGR +4.9% 성장 전망되며, 동남아는 17년 5.6억달러 -> 25년 10.1억달러로 CAGR +7.7% 성장 전망 3. 티앤엘의 주 품목인 하이드로콜로이드/풀리우레탄폼은 18년 7.74/15.9억달러 -> 25년 10.10/21.44억달러로 CAGR +3.9/4.4% 성장 전망 4. 22년 HERO COSME.. 2023. 10. 5.
[포니버스 #193] 디오_23년 반기보고서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해외법인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지급수수료가 증가했으며, 22~24년 LPGA의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22년부터 광고선전비 증가 2. 22년 4Q 매출 채권 회수가 어려운 거래선향 매출 취소를 단행하면서 매출/이익이 급감했으며, 23년에도 거래선 조정을 통해 900억원 수준으로 매출채권 감소 계획 3. 계획대로 900억원 수준으로 매출채권이 감소되면 23년 예상 매출 기준 회전율은 2회로 개선되지만, 현금전환주기는 200일 중후반대로 추가 개선 필요 4. 중국은 경쟁사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VBP 정책으로 인해 22년 하반기부터 수요 지연 발생 중이나 23년 하반기 해소 전망 GOOD 1.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은 20년 5.7조원 -> 31년 11조원으로 .. 2023.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