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분석239

[포니버스 #141] 인터로조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GPR, ROA, ROE 등 수익성이 중장기적으로 안좋아지고 있지만, 신규출시한 실리콘 하이드로겔이 수익성이 좋아 마진율 개선 기대 2. 22년 2Q부터 가동된 3공장의 생산지연 이슈가 8월까지 지속되었으나 9월부터 정상 가동 시작해 생산 CAPA는 22년 2,100억원 -> 23년 2,700억 확대 전망 GOOD 1. 글로벌 콘택트렌즈 시장은 20년 74억달러 -> 25년 102억달러로 CAGR 6.7% 성장 전망되며, 아시아 8.16%, 유럽 7.71%, 북미 7.45%, 중동/아프리카 4.3% 연평균 성장 전망 2. 글로벌 시장은 존슨&존슨, 알콘, 쿠퍼비전, 바슈롬이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은 존슨&존슨이 30%로 1위이고 인터로조는 국내 10%, 글로벌 1%(7~8위).. 2023. 3. 10.
[포니버스 #140] 엠아이텍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OLUMPUS가 국내 2위 비혈관용 스텐트 기업인 태웅메디칼을 인수해 OLYMPUS와의 미국/유럽향 협업 종료 가능 올림푸스, 태웅메디칼 인수…치료 내시경 포트폴리오 강화 올림푸스는 내시경 치료 솔루션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소화기내과 금속 스텐트 전문의료기업 태웅메디칼을 인수한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인수를 통해 태웅메디칼은 총 3억 7,000만 www.medicaltimes.com GOOD 1. 비혈관용 스텐트 시장은 21년 10.6억 달러 -> 30년 14.7억 달러로 CAGR 4.8% 성장 전망되며, 비혈관용 스텐트 시장에서 국내 1위(30%), 글로벌 5위(4%)로 98개국에 판매 중 2. 비혈관 스텐트 1위(80%)인 Boston Scientific과 16년부터 파트너.. 2023. 3. 9.
[포니버스 #139] 덴티움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18년 이후 연구개발비용 감소 중이며, 순현금성 자산이 18~19년 크게 감소한 뒤 20년부터 조금씩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임 2. 중국 VBP를 통한 조달물량은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40% 수준이며, 입찰 가격상한이 794위안으로 기존 대비 약 20% 가격 하락 3. 덴티움의 1차년도 구매수요는 448,541세트로 전체 물량의 20%에 달했으며, Class A에 속해 의료기관 수요의 90%를 최소공급 물량으로 보장받아 매출 약 600억원 발생 예정 GOOD 1.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은 20년 5.7조원 -> 31년 11조원으로 CAGR 7.5% 성장 전망되며, 임플란트 시장에서 국내 2위(16%), 중국 2위(25%), 글로벌 6위(5%) 유지 중 2. 중국의 임플란트 식립수는 .. 2023. 3. 7.
[포니버스 #138]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2년부터 경쟁 완화되면서 광고선전비가 소폭 통제되기 시작했으나, 오프라인 매장 출점으로 급여, 지급수수료, 외주용역비 증가하면서 판관비율은 50% 이상 유지 2. 종합 H&B 회사를 목표로 투자했던 젤라또팩토리 매각, BRX 피트니스 연결제외를 통해 22년 3Q부터는 종합 애슬레저 브랜드로 포지셔닝 변경해 이익률 개선 글루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자회사 젤라또랩 인수 platum.kr GOOD 1. 글로벌 애슬레저 시장은 21~28년 CAGR 9.9% 성장 전망되며, 제시믹스는 고가성비/고기능성 포지셔닝으로 여성 고객 90%, 10~30대 73%인 국내 1위 요가복 브랜드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2000억 매출의 주역 ‘블랙라벨’ 레깅스 연 판매량 33% 상승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 2023. 3. 4.
[포니버스 #137] 에스제이그룹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코로나로 해외 진출이 지연되고 있지만, 21년 2Q 중국 온라인 티몰에 진출했으며 22년 6월 영국 지점 설립해 LCDC 해외 진출 예정 에스제이그룹, 뉴 컨템포러리 브랜드 ‘LCDC™’ 론칭 사진제공 LCDC 에스제이그룹(대표 이주영)이 뉴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 LCDC™(엘씨디씨티엠)을 론칭한다. LCDC™은 감각적인 큐레이션으로 글로벌 브랜드를 소개하는 편집숍 SHOP LCDC(Le Conte Des Cont fashionseoul.com 2. 변동비인 지급수수료의 비중이 감소하고는 있지만 매우 높아 판관비율의 감소는 어려워보이며, 인건비에 따라 판관비율이 달라져 인건비가 커지는 3분기에는 수익성 악화됨 3. 스리랑카 국가 부도 상태 장기화 시 23년 헬렌카민스키 재고 확보에 어려움.. 2023. 3. 3.
[포니버스 #136] 더네이쳐홀딩스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캐리어 홈쇼핑향으로 주로 발생하는 지급수수료의 매출 비중이 30% 초중반으로 높아 판관비율의 감소는 어려워보이며, 오히려 인건비와 지급임차료 증가로 판관비율 증가 중 2. 기존에 와릿이즌 브랜드를 사용하던 비케이브는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를 지속 사용 중이며, 이로 인해 마크곤잘레스의 매출은 예상만큼 성장하지 못할 수 있음 3. 중장기적으로 지구온난화로 겨울 평균 온도가 증가하면 최성수기인 F/W 매출 감소로 매출/이익 감소 전망 GOOD 1. 홍콩은 5개 매장 운영 중으로 23년 10개 이상 매장 출점 예정이며, 대만은 Momentum Sports에 납품 중이고 23년 상반기 2개, 하반기 4개의 직영 매장을 출점해 직진출 에정 2. 중국은 22년 8월 법인 설립했으며, 11.. 2023. 2. 27.
[포니버스 #135] 클래시스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신사옥 매입(1,250억원)으로 장기차입금이 증가하여 21년 4Q부터 부채비율/이자비용 크게 증가했으나 22년 10월 구사옥 매각해 차입금 350억원 상환 2. 판매수수료는 국내 장비 판매 비중에 따라 변동되어 22년 1~2Q 슈링크 유니버스 출시 효과로 크게 증가했으며, 23년 상반기에는 볼뉴머 출시 영향 전망 GOOD 1. 글로벌 피부 미용 시장은 20년 20억달러 -> 28년 52억달러로 CAGR 13% 성장 전망되며, 글로벌 HIFU 장비 시장은 22년 4.57억달러 -> 27년 6.43억달러로 CAGR 7% 성장 전망 2. 14년 출시된 슈링크는 국내 누적 3,500대를 판매해 M/S 35%로 HIFU 장비 1위이며, 21년 출시된 슈링크 유니버스는 교체 시기(평균 5~7년)와 맞.. 2023. 2. 23.
[포니버스 #134] 파마리서치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인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영향으로 22년 파마리서치바이오 이익 급감 [데일리팜] 식약처, 톡신사태 행정착오 인정?...고법 항소 포기 [데일리팜=노병철 기자] 식약처가 보툴리눔 톡신 3개 업체에 대한 가처분 불인정 상소에 대한 소를 고등법원·대법원에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그 원인에 대한 의문이 깊어지고 있다. 당초 www.dailypharm.com 2. 휴메딕스가 PN+리도카인이 주성분인 belPN을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22년 1월 탐색 임상시험 신청했으며, PN 관절강주사 하이엔주도 23년 출시 예정 3. 한국비엠아이를 상대로 PDRN 제조공법 특허 소송은 승소했으나, 제조.. 2023. 2. 20.
[포니버스 #133] 레이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21년 3Q부터 중국 법인 인력 채용으로 판관비 상승했으며, 21년 4Q 방역사업 철수에 따른 120억원의 재고손실 발생했으나 22년 3Q 재고손실 환입해 GPM 상승 2. 21년 말부터 설비투자 및 중국 유통사 인수로 현금흐름 악화됐으나 22년 3Q CAPEX 종료되면 현금흐름 개선 전망 GOOD 1. 치과용 X-ray는 21년 10.2억달러 -> 28년 33.5억달러로 CAGR 18.6% 성장, 치과용 CBCT는 20년 3.9억달러 -> 28년 10.8억달러로 CAGR 13.4% 성장 전망 2. 치과용 CAD/CAM은 21년 18.3억달러 -> 28년 34.5억달러로 CAGR 9.5% 성장, 치과용 3D프린터는 21년 32억달러 -> 26년 79억달러로 CAGR 20.2% 성장 전망 3.. 2023. 2. 19.
[포니버스 #132] 아프리카TV_22년 4분기 영업(잠정)실적 RISK 1. MUV가 19년 6~7백만명에서 21년 5백만명 수준으로 지속 감소 중이며, 22년 하반기부터 구글 인앱 결제 정책 변화로 PU와 ARPU 감소 중이나 23년 1월 반등한 것으로 보임 2. 지급수수료와 컨텐츠제작비가 높아 마진율이 낮은 광고 중심 성장으로 방향성이 전환되며 수익성은 중장기적으로 감소 전망 GOOD 1. 20~40대 남성 비중이 80% 이상인 충성 고객 중심 플랫폼으로 트위치보다 MAU는 약 35% 낮지만 기부경제 거래대금은 2배 이상으로 BM 우수 2. 트위치가 망사용료 부담으로 2.7일부터 신규 동영상 등록을 중단하며 트위치 스트리머와 10~20대 유저가 유입 중이며, 별풍선은 OPM이 40% 이상으로 수익성 개선 가능 “한국 홀대에 열 받았다” 분노한 9억원 연봉자 결국.. 2023.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