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306 [포니버스 #68] ISC_22년 1분기 보고서 (feat. 관심종목 편입) RISK 1. 러버타입은 소품종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메모리 반도체향의 비중이 커서 반도체 산업의 사이클에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비메모리 반도체의 비중을 70%까지 증가 2. 20년 기준 소켓 시장의 72%가 포고, 15%가 러버타입이지만, ISC는 실리콘 러버가 매출의 56%이고 포고는 14%에 불과하여 글로벌 Top10 업체 중 유일하게 실리콘 러버가 주력 GOOD 1. 테스트소켓의 시장규모는 21년 기준 11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은 10% 수준이며, ISC는 글로벌 실리콘러버소켓 시장의 95% 이상 점유하고, 반도체테스트소켓 시장에서 1위 차지 2. 반도체 미세화 및 DDR5 도입에 따라 핀 수 증가 및 핀 사이의 피치 감소로 테스트 소켓의 개수와 판가 상승 중이며, 소켓/보드 등 종합 테스트 부.. 2022. 7. 10. [포니버스 #67] 삼성바이오로직스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22년 1Q 2공장 정기 보수로 가동률이 50%로 하향되었지만, 1, 3공장은 Full 가동되고 생산 효율 및 환율 영향으로 1Q 어닝 서프라이즈 실현되었으며, 2분기에는 영향 있을 전망 2. 22년 10월부터 4공장 일부 가동(25.6만리터 중 6만리터)되지만, 가동률 상승 대비 원가 부담 상승이 커서 이익 감소 예상 GOOD 1. 바이오의약품은 22년 3,600억불로 제약시장의 39.3%를 차지하고 26년까지 연평균 10.7% 성장 전망되며, CDMO는 22년 143억불 -> 26년 230억불로 연평균 10.1% 성장 전망 2.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MO 산업에서 글로벌 1위이며, 22년 말 25.6만리터 규모의 4공장 완공되면 점유율 추가 상승 가능 3. 4공장은 글로벌 제약사 3곳과 .. 2022. 7. 8. [포니버스 #66] LX세미콘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DDI 제품의 매출 비중이 90%로 높은데,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LG이노텍의 SiC 반도체 설비 및 텔레칩스 인수에 이어 차량용 반도체에 강점이 있는 매그나반도체 인수 추진 LX세미콘, '미래성장동력' 확보 사활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스페셜리포트]LX세미콘, 매그나칩 인수땐 종합 반도체기업 도약 LX세미콘이 매그나칩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LX세미콘이 매그나칩을 인수하면 스마트폰 OLED DDI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동시에 전력 반도체 직접 생산도 가능해지기 때문이 www.etnews.com 2. OLED 향 제품 출하 증가는 22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객사의 CAPA 가.. 2022. 7. 5. [포니버스 #65] 루트로닉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21년 하반기부터 생산직/영업직 인력을 20명 이상 채용하면서 이익률이 감소했지만, 교육기간 3~6개월 감안시 22년부터 매출 성장하면서 이익률 개선 예상 2. 22년 하반기~23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 발생 시 미용기기 수요 감소 가능 GOOD 1. 19년부터 ASP가 0.8~1.2억원으로 기존 대비 2~3배이고, GPM 70%대인 소모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면서 수익성 개선되며, 프리미엄 장비 비중이 50%로 늘어나면서 매출 확대 2.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클라리티2, 할리우드 스펙트라, 더마V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미국법인의 매출 및 수익성 지속 개선 중 3. 22년 3월 혈관치료기기 Derma V의 미국 판매 시작됐으며, 4Q에는 소모품 이.. 2022. 7. 3. [포니버스 #64] 신흥에스이씨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삼성SDI 매출 비중이 90% 이상으로 의존성이 매우 커 OPM이 10%를 넘어가기 어려우며, 단가 인하 압박이나 전고체전지로 바뀌면 실적 악화 가능 2. 원재료비의 40~50%를 차지하는 알루미늄 가격의 급상승에도 고객사와의 판가 협상이 6개월마다 진행되어 21년 하반기부터 GPR 감소하여 이익률 훼손 -> 2Q부터 정상화 예상 3. 헝가리 공장의 세제 혜택이 21년 끝나면서 22년부터 이익률 감소 가능 GOOD 1. 삼성SDI 내 점유율이 소형제품은 원형 1위, 중대형제품은 각형 1위, 캔 2위로 캡어셈블리는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신이디피 등 주요 4개사가 과점 중 2. 리튬이온전지 시장은 CAGR 26% 성장하여 30년 3800억 달러가 될 것이며, Xev용 점유율이 .. 2022. 7. 2. [포니버스 #63] DB하이텍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8인치 파운드리 판가 상승에 따라 12인치로 전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동일 제품을 12인치로 전환할 경우 1.5~2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24~25년에 가능 2. 22년 매출의 15~20%를 차지하는 DDI 판가는 소폭 하락 예상되지만, DDI의 매출 비중이 감소되고 있어 영향 제한적 3. 최근 PC, 스마트폰, 서버 등 IT용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면서 공급부족 현상 완화에 따라 23년에는 실적 감소 가능 [DB하이텍] 22. 06. 14 주담분과의 통화 [DB하이텍] 22. 06. 14 주담분과의 통화 (22. 06. 15) ※ 어디까지나 저 개인의 투자 아이디어이며, 타인... blog.naver.com GOOD 1. 국내 유일의 8인지 파운드리 업체로 8인치 공.. 2022. 6. 30. [포니버스 #62] 바텍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디지털 덴탈 시장 진출하고 있는 경쟁사들과 달리 사업 영역이 덴탈 이미징으로 한정되어 있음 GOOD 1. 치과용 엑스레이 장비에서 글로벌 1~2위이며, 중국 시장에서는 2D 엑스레이가 1위이고, 3D 엑스레이는 18년 3위 -> 20년 2위이며 1위와의 격차 감소 중 2. 중국은 18년 기준 치과의사 1인당 8천명 담당 중인데 30년까지 1인당 4~5천명으로 개선하는 정책 추진 중이며, 치과의사 및 병원 증가에 따라 진단장비 시장 수혜 예상 3. Green Smart가 디텍터 1개로 2D/3D 영상 획득이 가능해 가성비가 좋아 중국 시장 내 반응이 좋으며, Green16과 함께 22년 2~3Q 현지제조인증을 통해 프리미엄 라인 구축 예정 4. 22년 중국에 3D 장비 제조 시설 200억원~.. 2022. 6. 28. [포니버스 #61] 테이팩스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매출/이익의 가파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재고자산/매출채권/미수금의 증가로 OCF는 감소했으며, 22년 1Q에는 단기금융상품 매입으로 OCF 감소 GOOD 1. 2차전지 테이프는 LG에너지솔루션(37.3%), 삼성SDI(27.1%), 무라타 등 고객사 내 점유율 70% 이상이고 매년 점유율 상승 중이며, LG엔솔향 공급 물량은 대부분 테슬랴향임 2. LG엔솔이 오창공장 EV용 원통형 배터리 생산 CAPA를 22년 5GWh/연 -> 25년 25GWh/연으로 증설하면서 수혜받을 수 있으며, 루시드와의 원통형배터리 독점 계약도 수혜 가능 3. 무라타향 점유율은 기존 40% -> 21년 말 80%로 상승했으며, 21년 신규 고객사인 텐파워향 매출은 21년 40억원 -> 22년 100억원 수준으로 빠르.. 2022. 6. 26. [포니버스 #60] 이녹스첨단소재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19년부터 OCF의 영업이익 대비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의 증가 영향으로 보이며, 22년 1Q는 법인세 납부로 크게 감소 2. 전사 원재료 구매액에서 PI필름(from PI첨단소재)과 동박의 비중이 50% 이상으로 원재료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영향 크나 OLED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영향 감소 중 GOOD 1. FPCB 소재/OLED 소재에서 국내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아이폰/OLED TV/폴더블 폰 등 OLED 전방산업 성장에 따라 OLED용 소재의 매출 비중 빠르게 상승 2. 중국향 매출의 성장이 베트남향 매출 감소를 메꿔주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신규 WOLED 공장의 가동률이 90%로 올라오면서 중국향 매출은 지속 성장 전망 3... 2022. 6. 26. [포니버스 #59] 파마리서치_22년 1분기 보고서 RISK 1.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매출 100%를 차지하는 리액톡신이 판매정지 및 회수 조치 당했지만 집행정지 처분으로 영업 중이며, 소송 때문인지 22년 1Q 이익 급감 2. 휴메딕스가 PN과 리도카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메디필러를 21년 4Q 수출용으로 품목 허가 받고 국내에는 23년 출시 예정이며, PN 관절강주사도 올해 말 폼목 허가 신청 예정 '파마리서치와 시장 양분을 꿈꾼다'...휴메딕스, PN 관절염주사제로 출사표 휴메딕스가 파마리서치와 함께 PN·PDRN 시장 양분을 꿈꾸고 있다.휴메딕스 연구소 전경. (제공=휴메딕스)16일 업계에 따르면, 휴메딕스(200670)는 현재 PN과 리도카인(마취제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 www.edaily.co.kr [파마리서치] 현재 상황 및 팔로워들에 대한 생.. 2022. 6. 17.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1 다음 반응형